아하
검색 이미지
등산·클라이밍 이미지
등산·클라이밍취미·여가활동
등산·클라이밍 이미지
등산·클라이밍취미·여가활동
힘센토끼202
힘센토끼20222.12.04

등산할때 올라가는것보다 내려갈때 더조심해야한다는데 이유가무엇일까요?

등산할때 올라가는것보다 내려갈때 더 조심해야한다는데 혹시 무릅때문에 내려갈때 조심해서 내려가야한다는 이유가 있을 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비장한딱새184입니다.

    올라갈 때는 무릎이 약간 굽혀진 상태에서 올라가기 때문에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습니다. 내려갈 때는 무릎이 많이 굽혀진 상태에서 내려가기 때문에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이 더 커집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4

    안녕하세요. 진지한갈매기26입니다. 정상을 갔다가 내려올 때 발을 헛딛뎌서 미끄러 낙상할 수도 있는 위험이 있고 올라갈 때보다 내려올 때 무릎에 무리가 더 가기 때문에 조심을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듬직하고사랑스런감자입니다.

    등산을 하실 때 정상으로 올라 갈 때는 근력이 긴장을 더 하고 있고 힘도 남아 있어 부상 위험이 덜하며,

    하산을 하실 때는 근력의 소모가 있는 상태이고 미끄러질 위험이 큰 상태로 낙상 사고의 위험이 올라갈 때보다 크다고 할 수 있어 하산하실 때 더 주위하셔서 내려 오셔야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재빠른반딧불251입니다.

    내려갈때 주의해야 할 이유는

    다리의 힘을 어떻게 쓰는냐에따라 달라집니다

    산은 지형이 울퉁불퉁하고 불규적이라

    상황에 따라 힘을 분배하지 않으면 미끄러져

    중상은 기본이고 사망에 가깝게 다칠수 있습니다

    하산할때 발은 옆으로 짚어 힘을 분산시키는게 좋습니다

    발을 앞으로 향해 가며 하산하면 체중이 앞으로 쏠리며 앞으로 넘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삼촌이다.다알려준다.입니다.


    올라갈땐 근육사용으로 올라가 관절에 무리를 많이 주지 않는 반면, 내려올때는 넘어지거나 지지하기위해 근육으로 힘을 주어도 관절에 더 큰힘이 가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려올때는 올라갈때 힘을 많이 써버린터라, 다리에 힘이 많이 풀린상태라 사고 확률도 더 크기 마련이구요.

    해결방법으로는 무릎을 살짝 궆힌 자세로 천천히 내려오면 좀더 안정적으로 내려올수 있습니다. 또한 지팡이 같은 도구를 같이 이용하시어 팔로 힘을 분산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즐거운뱀눈새207입니다. 올라갈때보다 내려갈때 사고위험이 더 높습니다. 무릎과 발목에 무리가 많이 갑니다. 내려갈때도 등산스틱을 사용하고 다리에 힘을 주고 내려가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