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수혜보는 사업군이 어떤게 있을까요?
미국 트럼프가 관세 정책으로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많이 되고 있는거 같습니다. 미국이나 우리 증시도 많이 하락한거 같은데요. 이런 트럼프 정책으로 인해 반대로 수혜를 보는 사업군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궁극적으로 보았을때 모든 산업에 피해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 반도체 기업의 경우 중국산 첨단 기술 제품에 대한 제재로 반사적 이익을 얻을 수 있으며, 그 외에 중국,캐나다, 멕시코 등에 관세가 부과되고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관세가 낮다면 그에 따른 수혜군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먼저, 미국 내 제조업, 특히 철강·알루미늄 같은 소재 산업은 관세로 외국 경쟁이 줄며 생산과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철강업체(US Steel, Nucor)는 과거 2018년 관세 때 주가가 상승한 바 있습니다. 다음으로, 에너지 산업(석유·가스)은 트럼프의 화석연료 확대 정책과 맞물려 유리할 수 있습니다. 셰일오일 기업(ExxonMobil, Chevron 등)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방위산업은 관세 전쟁으로 인한 지정학적 긴장이 높아지면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큽니다. 록히드마틴이나 노스럽그루먼 같은 기업은 방산 수요 증가로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방산업체 그리고 조선업들이 이에 대하여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특정 산업에 혜택을 주는 동시에 다른 분야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 내에서는 철강과 알루미늄 산업이 관세 부과로 인해 수입품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한편, 한국의 화장품 산업도 수혜를 입었습니다. 미국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산 화장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한국산 화장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K-뷰티 제품의 미국 시장 점유율이 확대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세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에 혼란을 초래하고, 시장의 불확실성을 증가시켜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등 부정적인 영향도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