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색다른라마54
색다른라마54

변동금리는 언제 까지 오를까요?

변동금리가 3개월마다 오르고 있는데,언제 까지 올릴지? 물가가 안정되면 다시 내릴것인지?

30년전엔 예금 금리가 10프로가 넘을때도 있었던거 같은데...무슨이유로 금리가 낮아졌었고,대출금리도 내려가게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상승과 5%대 고(高)물가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내년 초까지 금리를 추가로 1~2회 올려 최종금리 연 3.5~3.75%에서 이번 금리 인상 사이클을 마칠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 상반기에는 정점을 찍고 하락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고 있는 상태이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기조는 인플레이션에 의해서 상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안정되어야지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을 멈출 수 있게 될 것 같습니다.

      현재 미 연준의 예상으로는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2023년도 연말은 3%대의 CPI를 그리고 2024년도 상반기에 목표치인 2%대의 CPI로 내려 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의 경우도 미국을 따라서 내년 중반까지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빠르면 2023년도 연말쯤 되면 금리의 인하를 검토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0년전에는 IMF시기에 발생했던 고금리를 이야기하시는 것 같습니다. 당시 우리나라는 외환 보유고가 없어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지원받았고 그 대가로 금리를 인상할 것을 강요받았습니다. 그래서 기업들에 대한 강력한 체질 개선과 고금리의 정책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향후 경제가 안정이되고 IMF의 구제금융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서 국내 경기 활성화를 위해서 점차적으로 금리를 낮추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및 2010년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인해 세계경제가 힘들어지자

      미국 등을 비롯한 각국들은 금리를 크게 낮추고 돈을 많이 풀었습니다.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해서죠.

      각국이 경쟁적으로 금리를 낮춰서 심지어 마이너스 금리까지 갔었죠.

      기준금리가 낮아지니 시중 금리들도 같이 내려갔던 것입니다.

      그랬던 것이 올해 거꾸로 금리가 급등하게 되었죠.

      내년 이후엔 다시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지만

      말씀하신대로 물가상승율이 다시 꽤 둔화되고 경기침체가 진짜 확실하게 왔다는게 가시화되기 전까진

      금리를 다시 내리기는 아직은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안정이 된다면 기준금리가 추후에 내려갈 가능성이 큽니다.

      금리와 같은 경우 무한정 오를수도 무한정 내려갈 수도 없는 것으로

      향후 경기침체 등이 우려된다면 금리가 다시 인하될 가능성이 크나

      그 정확한 시점은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