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달 판단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아기에게 생길수 있는 황달의 판단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몸의 부위별로 나타나는 경계가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컬러 차이를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출산후에 피부가 노랗게 되거나 눈이 노랗게 되는경우 황달을 의심해볼수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르다는것을 느낄수있으나 정확히 황달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려울수있기에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사람마다 황달증세를 보이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황달끼가 보인다면 하루 빨리 병원에 데리고 가서 정확하게
의사선생님한테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마다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황달에 관한 질문은
이곳보다는 의료 카테고리에 질문해보시는 것이
현직 의사선생님들께서 더 좋은 답변을 해주실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육안상 보실 때, 아이 피부와 몸이 노랗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또한 황달 증세가 의심되는 것으로, 그보다 더 정확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아이의 눈꺼풀 결막 내부를 보는 것입니다.
진성 황달을 구분하는 방법 중 하나가 결막을 보는 것인데요.
위 방법대로 구별을 하시면 될 것으로 보이며, 참고적으로 아이의 황달은 대부분 큰 문제가 없으니
너무 염려치 않으셔도 된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황달 수치로 판단하는 것 같아요.
병원에서 사용하는 혈액검사 장비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결과는 조금씩은 다를 것 같습니다.
피부상피 검사 보다는 혈액채취 피검사를 하는 게 더 정확한 것 같습니다.
보통 빌리루빈 수치가 10이나 12정도 되면 소아과에서 더 지켜보자고 하십니다.
더 자세한 안내는 아하 의료 게시판에 글을 남기면 도움을 주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