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가 장거리 비행이 가능한 이유는 뭘까요?
새들의 비행거리는 길면 1만km도 단기간에 날아가는 종도 있다고 하는데 이렇게 단기간에 장거리비행이 가능한 것은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새들의 날개짓에는 어떤 원리들이 있기에 이게 기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장거리비행이 가능한새들은 보통 날개의 크기가 큰경우가 많습니다.
높은곳에서 날개를 최대한으로 펼치고 활공하면 먼곳까지 힘을최소한으로쓰며 날아갈 수 있습니다.
새들은 가벼운 몸, 유선형 몸매, 강력한 근육, 효율적인 호흡기, 지방 저장 능력, 뛰어난 방향 감각과 비행 기술을 통해 장거리 비행을 합니다. 앨버트로스는 글라이딩, 기러기는 V자 대형으로 에너지를 절약합니다.
새가 장거리 비행이 가능한 이유는 그 신체구조와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및 항법 능력 때문입니다.
새는 유선형 몸체를 가지고 있어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뼈 속이 비어 있어 몸무게를 줄이고 비행에 유리합니다. 또 날갯짓을 위한 강한 근육과 부드러운 비행을 위한 조절 근육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 말씀하신 날개짓을 통해 공기의 흐름을 만들고 이를 통해 양력을 발생시켜 하늘을 효율적으로 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죠.
그리고 장거리 비행에 앞서 체내에 충분한 지방을 저장하여 에너지를 비축하고 무리 지어 비행할 때 앞서 나는 새가 만들어낸 상승 기류를 이용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이게 됩니다. 특히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이용하여 비행 경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에너지를 절약합니다.
결론적으로 새가 장거리 비행이 가능한 것은 비행에 특화된 신체 구조와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등 장거리 비행에 최적화된 기능 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장거리비행이 가능한종들은 보통 날개가 넓고 몸이 길쭉하고얇아서 한번 날아오른뒤에는 기류를타고 계속 날아갈 수 있습니다.
초기 날아오르는 에너지만 크게들고 나머지는 활공을통해 멀리까지 날아갈수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