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잉글스
잉글스

주식같은 경제공부는 몇살때부터 시켜주는게 좋을까요

아이한테 주식등 경제 공부를 시켜주고 싶은데 언제부터 시켜주면 좋을까요?

초등학교5~6학년때부터 괜찮은가요?

요즘은 빨리 교유시켜주는게 좋을거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공부는 일상생활에서 대화로 시작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분명 책이나 영상으로 공부하듯이 주식에 대해 배우는 것도 좋지만,

    많은 대화로 자연스럽게 지식을 녹이는 것이 훨씬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부부끼리 주식에 대해서 많은 대화를 하며, 아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게 되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많은 용어들을 알게 되고, 주식에 대한 흐름을 이해하게 될 겁니다.

    일부러 아이들 앞에서 뉴스를 보면서, 경제 이야기를 하고, 기업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주식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대화하다보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될 것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공부는 뭐든 빠를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조금 조심스러운 부분은 주식 같은 경우는 사행성이 있고 중독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젊은 사람일수록 빚투를 했다가 이곳에 와서 죽고 싶다라고 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거든요 제 주변에도 비트코인을 해서 큰 돈을 벌었다가 망한 사람도 있습니다 그만큼 도박과 같습니다 주식을 하는 것은 나이가 20살에 오토바이를 타는 것과 나이가 50살쯤 돼서 오토바이를 타는 것은 분명 다릅니다 주식이라는 것도 마찬가지지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초등학교 때는 주식공부보다는 생활경제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 예를들면 용돈 내에서 소비를 어떤식으로 가져가고 저축을 하여 내가 원하는 물건을 사는

      과정 등을 말할 수 있습니다

    • 즉 주식보다는 어릴 때는 적금상품으로 돈을 모아가는 것을 더 알려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공부는 어릴 때부터 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등학생도 통장개설을 해주고 주식투자에 대해 알려주면 경제관념도 익히고 시장 경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현재 21살로 중1때부터 증권 경제 공부를 해왔습니다. 저는 경제 공부를 시켜준다 하면은 초등학교6학년 때에는 유튜브에 있는 아이전용 쉬운 경제 공부를 보여준 뒤 서서히 단계를 올리시는 건 어떨까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공부와 같은 경우에는 어린시절부터

    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이에 따라서 초등학생 때부터 경제 개념을

    심어주신다면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저 같은 경우 제 아이들에게 초등학교 3,4학년 숫자를 어느 정도 확실히 이해 할 수 있는 단계부터 금융 교육을 시작 했습니다. 개인적으로 투자의 개념 그리고 필요성도 이 시기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 5~6학년 정도부터 경제 공부를 시작해도 좋습니다.

    용돈 관리나 간단한 주식 개념을 알려주면 이해할 수 있어요. 너무 복잡한 개념보다는 돈의 가치, 저축, 간단한 투자 원리 같은 기본적인 개념부터 차근차근 가르쳐보셔요!

  • 초등학교 저학년이나 용돈을 주기 시작할때부터는 돈 교육을 시켜주면 좋습니다.

    주식도 초등학생들이 이해 할 수준에서 알려주면 아이들이 경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초등학교 5~6학년 정도면 딱 좋은 시기라고 생각되네요.

  •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은 주식을 초등학교 입학선물로 주시는 부모님들도 있을정도로 경제에 대한 조기교육을 일찍 시킨다고 합니다.

    제생각에도 빠르면 빠를수록 좋을것 같고 용돈을 주식의 형태로 주면서 주식으로 오르고 내리는 모습을 직접 느끼면서 배우는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주식이나 경제 공부를 가르치는 것은 초등학교 5~6학년 정도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는 기본적인 수학과 논리적 사고 능력이 발달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간단한 경제 개념과 주식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축, 용돈 관리, 물건의 가치 상승과 하락 같은 일상적인 개념부터 시작하면 좋습니다.

    경제 공부는 단순한 개념부터 시작해 실생활과 연관된 예시를 통해 흥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주식에 대한 이해를 자연스럽게 넓힐 수 있도록 게임이나 간단한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차근차근 시작하면 아이가 경제와 투자에 대해 긍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재정 관리 능력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은 어릴때부터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주식에 접목하지 않더라도 경제공부가 결국 주식공부니, 은행방문부터 물건구매나, 다양한 사례를 들어 수요와 공급법칙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빠르게 공부하면 더 빠르게 습득하니까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같은 경제 공부는 언제부터 시켜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아이가 어느 정도 관심이 있고

    글을 읽고 쓰는 것에 문제가 없는 수준이라면

    교육이 들어가야 한다고 봐집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초등학교 고학년이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아이들도 빨리 경제에 눈을 떠서 초등학생들도 주식으로 수익 많이 내는 것도 종종 볼수 있었습니다.

    저도 아이가 초등학교 고학년 되면 주식을 가르쳐 주려고 하고 있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 5~6학년 때부터 주식이나 경제 공부를 시작하는 것은 좋은 시기일 수 있습니다. 이때는 돈의 가치와 저축, 소비 같은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나이이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주식이나 경제에 쉽게 흥미를 느끼도록 용돈 관리부터 시작해보면 실생활에 적용하기도 좋습니다. 너무 어려운 내용보다는 경제 기본 개념부터 차근차근 가르치면 자연스럽게 경제 감각을 키울 수 있습니다.

  • 초등학교 고학년때부터도 시작은 해도되지만

    부모가 주도하면서 재미를 주면서 알려주는 방식으로 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코카콜라 맥도날드 디즈니 애플 삼성전자 엘지전자 등 익숙하면서 우량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투자하면서 실생활속에서도 자주 접하게 하는 방식을 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