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3.24

조선시대 한양의 영역은 지금 서울의 어느 지역에 해당하나요?

조선시대 한양에서 확장하여 지금의 서울이 상당히 넓은 도시가 됐는데, 조선 건국 당시의 한양은 지금 서울의 어느 지역에 해당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한양이란 동대문.서대문.남대문 북대문 의 4대문안의 성곽안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한양을 지금 서울의 어느지역 정도라 하면

    경복궁이 있는 쪽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한양이라는 지명은 한강(漢)의

    북쪽(陽)에 있다는 데에서 기인했다.

    양(陽)은 강의 북쪽 지역, 산의 남쪽

    지역에 쓰이는 접미사이다.

    북회귀선 이북의 북반구에서는 해가

    항상 남동쪽에서 떠서 남쪽을 지나

    남서쪽으로 지므로, 산의 남쪽은 거의

    항상 양지이고 북쪽은 거의 항상

    음지가 된다. 때문에 한양은 한강의

    북쪽을 의미한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당시의 한양의 영역은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동서남북 방향)과 성곽 외부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데, 즉 현재의 서울시의 강북 지역 대부분이 포함된다고 합니다. 강남이나 분당 지역은 조선 시대에는 시골 농촌 지였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한양은 서울을 말 하는 것으로

    정확하게 말하면 북한산 있는 곳이 한양에 도읍지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4대문 즉, 흥인지문, 숭례문, 숙청문(숙정문), 돈의문 이렇게 4대문의 안쪽을 가리켜 당시 한양이라고 칭했던 것입니다. (* 즉, 지금의 강남구나, 강서구, 강동구, 영등포구 등은 당시에는 한양, 한성이 아니었던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 건국 당시의 한양은 현재 서울의 중구와 용산구 일부 지역에 해당합니다. 이 지역은 한양성이 있던 곳으로, 남한강과 북한강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조선 시대 후기에는 경성(경복궁이 있는 지역)으로 수도가 옮겨졌으며, 이후 서울로 이름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 건국 당시의 한양은 지금 서울의 중심지인 종로구와 중구 일부 지역에 해당합니다.

    한양은 경복궁과 창덕궁, 종묘 등의 왕실 건물과 함께, 현재의 서울시청, 남대문시장, 선릉, 이화여자대학교 등이 위치한 지역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한양의 범위가 점차 확대되었으며, 이후 서울로의 발전 과정에서도 지금의 서울특별시 영역 내에서 지역적 확장과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서울과 한양/한성은 동일한 지역을 가리키기는 하지만 그 말 자체의 의미가 같은것은 아니었고 서울은 원래 수도를 뜻하는 일반명사, 한양/한성은 그 지역 자체의 지명이었던 것에서 훗날 일반명사였던 서울이 지역 자체의 이름이었던 한양/한성을 대신해 지명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선 이전 통일신라와 고려에서도 한양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그 당시 한양은 수도가 아니였으므로 서울은 아니었습니다.

    즉, 고려왕조가 계속 존속됐거나 조선 왕조가 건국 직후 한양부로 천도하지 않고 계속 개경을 수도로 삼았다면 지금의 서울은 한양 이라는 이름으로 남아있고 대신 개성이 서울이 되었을 것이니 서울이 도시 이름으로 고유명사화한 현대에 와서 역으로 서울의 일반명사적 속성은 줄어들고 수도라는 한자어가 그 자리를 대체하였습니다.

    1963년 서울 대확장 이전의 서울특별시는 남쪽에 영등포를 붙여놓은 한양이라고 볼수있었지만 1963년 서울 대확장과 강남 대개발로 강남쪽의 비중이 커져 더 이상 서울특별시는 한양으로 보기에는 애매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지금의 서대문구, 마포구, 종로구, 중구 정도가 해당 되었을 것 같습니다. 사대문 안이었으며

    서대문, 동대문, 남대문, 숙정문 안이 해당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한양은 현재의 서울 시청 부근에 해당됩니다. 조선시대 한양은 지금의 서울 중심부인 종로, 중구, 영등포구 등의 지역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경복궁, 창덕궁, 종묘, 덕수궁 등의 역사적인 유적지와 함께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지가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