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재산 보험 이미지
재산 보험보험
재산 보험 이미지
재산 보험보험
더 나은 삶
더 나은 삶23.01.16

공동지분과 전체지분의 자동차 종합보험이 어떻게 다른가요?

자동차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지인들이 종합보험료가 만만치 않다면서 공동지분으로 하면 보험료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하는데 차이가 많이 나는건가요? 참고로 면허증만 있구요 공동지분을 가질분(50대)은 운전경력이 8년정도 됩니다.

또 사고시(사고 발생자)엔 어떤 불이익이 돌아가는지요?
알려주세요 ~~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9

    안녕하세요. 임지성 보험전문가입니다.

    공동지분은 말그대로 지분이 공동으로 설정되어있는겁니다.

    자동차 보험의 명의자와는 별개로 생각해야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됫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경재 보험전문가입니다.

    지분이 어떻게 되어있던 자동차 보험의 가입과는 연관이 있으나

    보험가입내용이 다르지는 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세세히 답해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지분도 지분 나름이니다. 같이 할 분이 사고이력이 남들과 다르게 많이 있다면 의미 없습니다.

    표준등급 좋은분으로 피보험자 가입해서 본인1인추가 하면 많이 저렴하게 가입 가능 합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 측면에서는 공동지분으로 하여 가입하시는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사고시에는 공동지분을 가질분에게 사고이력이 적용되며, 사고로 인한 보험료 할증 적용을 받는 시점에 차량을 명의 변경하시면서 보험을 가입한다면 면탈할증에 적용을 받거나 인수거절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자동차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지인들이 종합보험료가 만만치 않다면서 공동지분으로 하면 보험료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하는데 차이가 많이 나는건가요? 참고로 면허증만 있구요 공동지분을 가질분(50대)은 운전경력이 8년정도 됩니다.

    또 사고시(사고 발생자)엔 어떤 불이익이 돌아가는지요?

    => 공동지분을 가지고 있다면 지분을 가지고 있는 사람 아무나 보험이 가입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차량 운전 경력이 없는 사람은 보험료가 비싸기 때문에 가족중에 운전경력이 많은(아버지)와 지분을 나눈 후 아버지 명의로 보험을 가입후 가족보험으로 운행을 하게 되면 보험료가 저렴해 지는 것이죠.

    사고시 불이익은 내가 운행하다가 사고 나도 내 보험료에는 영향이 없지만 보험을 가입한 주체. 즉 지분을 같이 나눠서 보험을 가입한 그분에게 할증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자동차 보험의 경우 명의자가 가입을 해야 합니다.

    명의자가 보험 가입 경력이 없는 경우 보험료가 비싸기때문에 부모 등 가입 경력이 있는 사람과 공동으로(1%만 공동으로 해도됨) 한 다음 경력자에게 보험을 가입하는 경우 좀 더 저렴하게 보험을 가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