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사막위의오아시스
사막위의오아시스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는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미시경제학에서 나오는 용어로 잉여라고 있던데요.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로 분리되는 이 단어는 미시경제학에서 어떤의미로 사용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어떤 재화를 구매할 때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금액에서 실제 지불한 금액을 뺀 이익이에요.
    생산자 잉여는 생산자가 어떤 재화를 팔 때 실제 받은 금액에서 최소로 받고 싶었던 금액을 뺀 이익이에요.


    이 두 잉여는 시장에서의 거래로 인해 생기는 경제적 이득을 나타내요.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균형점에서 소비자와 생산자의 잉여가 최대가 되기 때문에,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측정할 때 자주 사용돼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잉여란 소비자가 특정 재화를 구매하기 위해 지불할 용의가 있는 금액에서 실제 지불한 금액을 뺀 나머지를 의미하는 것이고, 생산자잉여는 소비자잉여는 소비자가 특정 재화를 구매하기 위해 지불할 용의가 있는 금액에서 실제 지불한 금액을 뺀 나머지를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시경제학에서 소비자 잉여란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 금액에서 실제 지불한 금액을 뺀 차이입니다. 소비자는 그만큼 이득을 얻었다고 생각할수 있습니다. 생산자 잉여란 생산자가 어떤 상품을 판매한 실제 가격에서 그 상품을 최소한으로 팔 의향이 있는 가격을 뺀 차이입니다. 생산자도 그만큼 더 이득을 보고 팔았다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살 때 실제 지불한 가격보다 더 많이 지불할 의사가 있었던 금액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80만 원에 샀지만 사실 100만 원까지 낼 용의가 있었다면, 그 차이 20만 원이 소비자 잉여입니다. 즉, 소비자가 느끼는 ‘이득’이죠.

    반면, 생산자 잉여는 생산자가 상품을 팔 때 실제로 받은 가격이 자신이 최소로 받고 싶었던 가격(즉, 생산비용)보다 높을 때 생기는 차익입니다. 예를 들어, 한 제품을 5만 원에 팔 수만 있어도 만족하는데 시장에서 8만 원에 팔았다면, 그 차이 3만 원이 생산자 잉여입니다.

    이 두 개념은 시장에서 거래가 이루어질 때 소비자와 생산자가 각각 얻는 경제적 이익을 보여주며, 시장의 효율성과 전체 경제적 복지(총잉여)를 평가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기대한 것과 낮은 가격에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얻는 만족감이나 이득을 말하며 생산자 잉여는 생산자가 예상한 것보다 높은 가격에 상품을 판매함으로써 얻는 이익을 말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소비자 잉여란 소비자가 특정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얻는 이득을 의미하고

    생산자 잉여란 생산자가 특정 상품을 판매함으로써 얻는 이득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구매할 때 실제로 지불한 금액보다 더 많이 지불할 의사가 있었던 최대 금액과 실제 지불 금액의 차이입니다. 즉,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함으로서 얻는 이득을 의미하며, 시장 가격이 낮을수록 소비자 잉여는 커집니다.

    생산자 잉여는 생산자가 상품을 판매할 때 실제로 받는 금액에서 그 상품을 생산라는 데 들어간 비용을 뺀 금액입니다. 즉, 생산자가 시장에 참여해 얻은 이익을 뜻하며, 시장 가격이 높을수록 생산자 잉여가 커집니다.

    이 둘을 합친 것이 사회적 잉여로, 시장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