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다정한잠자리74
다정한잠자리7422.02.05

호흡기 쪽인기 소화기 쪽인지 알수가없어서 질문드림니다

나이
55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목에 가래같은게 항상걸려있는 느낌이들고 소화도 잘안되고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차고 기침을하면 목에서 가끔 가래가 나올때가있읐고 밭으시 누워있으면 가끔 숨이 막힐때도있읍니다 어떤 원인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식도염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식도염에 걸리면

    식도쪽에 격통

    가슴통증

    출혈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도염은..

    당뇨등의 전신질환이 있을때 나타날 수 있으며, 구토하는 습관이 있을시, 위산역류에 의해 식도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도염의 치료

    식사후 바로 눕는 습관을 교정하셔야합니다.

    금연을 하셔야합니다.

    커피, 초콜릿, 오렌지주스 등의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셔야합니다.

    감염에 의한 식도염의 경우, 항생제를 복용하셔야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2.07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역류성식도염은 작열감 가슴주변이 타는듯한 통증으로 표현되는 증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중 하나입니다. 위식도역류질환은과 위염을 악화시키는 인자로는 크게 두가지 원인이 있을수 있습니다. 위에서 식도로 내려가는 조임근이 약해져 강한 산성의 위액이 식도를 자극하는것과 위벽을 자극하는 요소인 흡연 음주 매운음식 짠음식 등이 위산분비를 촉진시키는 경우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흡연 음주 매운음식 짠음식만 피해도 증상을 줄이고 건강하게 지낼 수 있을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주로 호소하시는 증상이 활동 시 숨찬 증상과 기침, 가래, 숨막히는 증상으로 보입니다. 호흡기내과에서 우선적으로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상기 증상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호흡기 내과 진료를 보는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먼저 소화기 내과쪽 진료를 보시고

    내시경이 필요한 경우 내시경까지 진행하시고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그때 소화기선생님과 상의하신뒤 호훕기 진료를 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을 갖고계시긴하나 정확인 진료와 검사를 통해서 치료벋으시는것이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소화기 증상(역류성 식도염 등)으로 인해서는 숨이 차기는 어렵습니다. 기침, 가래, 호흡곤란에 대해서는 일단 호흡기나 심장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중요한 장기에 이상이 없다면 이후에는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아직은 진찰과 검사를 해 봐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 듯 합니다.


  • 질문자님께서 이야기 하시는 증상은 역류성 식도염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증상입니다. 관련하여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정확한 상태 평가를 우선 받아보시는 것이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소화기내과 진료 및 검사를 받아보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적어주신 증상은 단순히 하나의 질환만은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소화기증상 심장증상 그리고 호흡기증상 모두 가능하므로 가까운 내과 내원하여 진료받아보시고 그에 맡게 진료의뢰서 작성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준구 의사입니다.

    증상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기는 어렵겠지만 가래와 함께 호흡곤란, 운동시 호흡곤란이 동반되고 있어서 만성폐쇄성 폐질환 같은 호흡기 질환이 의심 됩니다. 소화불량이 동반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심부전이나 천식 같은 질환도 의심 해 보아야 하겠으며, 증상이 정도가 경하다면 역류성 식도염도 의심 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우선 호흡기 내과 진료를 먼저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