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과 채권의 상관계수는 어느 정도인가요?
주식을 투자할 때 대표적인 헷지 수단이 채권입니다. 그만큼 둘의 위험을 서로 분산해준다는 뜻인데 주식과 채권의 상관계수는 어느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은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에 속하기 때문에 주식이 상승하게 되면 채권에 대한 매력이
하락하고 반대로 주식이 하락하게 되면 채권에 대한 매력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과 채권의 상관계수는 경제 상황과 금리 변화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음의 상관관계가 많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주식이 하락할 때 채권 가격은 상승해 포트폴리오 분산에 도움을 주지만, 시기별로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변화에 따라 상관관계가 변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 오르면 채권은 대체로 약세를 보인다는 말이 자주 나오는데 실제로 상관계수는 시기마다 꽤 달라집니다. 통상적으로는 마이너스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아서 투자자들이 위험 분산 수단으로 채권을 찾습니다. 그런데 최근 몇 년은 인플레이션 충격이 크다 보니 주식과 채권이 같이 흔들리는 구간도 있었고 그럴 때는 상관계수가 플러스 쪽으로 올라가 버려 헷지 효과가 줄어들었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과 채권의 상관계수는 시장 상황과 시기별로 변동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향을 보입니다.
음의 상관관계(부의 상관계수):보통 주식과 채권은 약 -0.3 ~ -0.6 사이의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 채권은 안전자산으로 선호돼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짐:
경제 안정기에는 상관관계가 0에 가까워지거나 플러스(양의 상관)로 바뀌기도 합니다.
경기 침체, 위기 상황이나 불확실성 확대 시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더 강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상관계수를 말할 때 0보다 크면 같은 방향, 0보다 작으면 반대 방향, 0일때 상관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식과 채권은 항상 같은 관계는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경기가 침체할때는 -0.3~-0.4 정도이나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경우 +0.2~+0.4 가 되기도 합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게 움직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과 채권의 상관관계가 정비례나 반비례와 같이 적용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주식의 경우는 공격형 투자, 채권의 경우 안전형 투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장에서는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유입이 되며, 불안정한 장이나 혼란한 장에서는 채권으로 자금이 유입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자금의 흐름에 따라 어디가 더 영향을 주고 받느냐의 정도이지 이것이 무조건적으로 반비례 한다 이렇게 말하진 않을 것 같습ㄴ디ㅏ.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과 채권의 상관계수는 고정값입니다 현재의 시기, 경기 사이클, 인플레이션, 시장금리에 대해서 각각 다릅니다. 다만 장기적으로 본다면 선진국기준으로 주식과 채권의 상관계수는 오히려 전혀 관계가 없는 0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2000년대 이후 미국은 -0.2~-0.3수준으로 완전히 역의 상관관계보다는 대체적으로 큰틀에서 어느정도 헤지하는 형태의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다만 1990년대 이전 인플레이션이 높고 고금리 시기인 시절에는 주식과 채권이 오히려 양의 상관관계수로 둘의 가격이 동일한 관계의 움직임을 보이던 시기도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이 급등하는 2022년부터 23년까지는 주식과 채권이 둘다 하락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과 채권은 일반적으로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상관계수는 -0.2~-0.5 수준으로 나타납니다. 다만 시장 상황에 따라 이 상관관계는 달라질 수 있어 항상 일정하지는 않습니다. 포트폴리오는 리스크 분산 시키는 수단으로 자주 활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과 채권의 상관계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2025년 주식과 채권의 상관 관계는 강한 모습을 보였지만
7월 이후인 하반기에는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