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를 자주하는 시기가 있나요?
5살 남아인데 요즘 쉬를 조금씩 자주합니다.
어딘가 아프다거나 그런 이야기는 없으나 내심 걱정됩니다.
어린아이가 이런 시기가 있다고하는데 지켜봐도 괜찮은걸까요?
아니면 병원에서 전문적인 상담을 받아봐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
소아의 빈뇨는 의외서 성장기에 한번은 겪게 되는 흔한 증상인데,
문제는 이러한 빈뇨가 방광염의 초기 증상과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만약 이번에 처음으로 빈뇨가 나타났다면
일단 먼저 기본적인 <소변검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비용도 저렴하며 오전에 검사하면 하루후엔 결과가 나오므로 고민없이 검사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소변검사가 정상적이라면
방광의 일시적인 민감성 때문인데
일부 심리적인 요인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의외로 아무 문제없이도 나타나는 경우가 더 흔합니다.
이는 아이가 성장발달하는 과정 중에
방광과 뇌신경 연결에 있어서 일시적인 불안정함이 생기는 것이 원인으로
이에 대해 아이가 조절하고자하는 강박을 가지게 되어 자주 소변을 보는 것입니다.
결코 관심을 끌고자 하거나 꾀병이 아니라 아이나름대로 조절해야한다는 책임감에 기인함을
알아주세요.
다만 이렇게 자주 소변을 보면 방광의 요도 조절근의 민감성이 더 심해지므로
소변검사에 이상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아래와 같이 조절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화장실에 다녀온지 얼마 안돼서 다시 가려고 하면
갑자기 재미난 동영상을 5분정도 보여준다든지, 젤 좋아하는 간식을 준다든지 해서
집중력을 분산시켜 보세요
(다만, 좀 참아보라는 식의 말씀은 절대 해서는 안됩니다.)
이로 인해 아이는 화장실에 가려던 것을 자꾸 망각하게 되면서
자연히 이런 행동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물이나 음료섭취가 늘지 않았는데 소변을 보는 횟수가 늘어났다면 정신적, 정서적으로 불안감에 쌓여 있는 것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아이의 소변 횟수가 줄어들지 않는다면 병원에 가서 검진을 받아보거나, 검진에도 이상이 없을 때 상담센터에 방문하셔서 아이의 심리상태를 체크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아이마다 성장하면서 모두 다른 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단언할 수는 없으나,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 행동으로 보아도
무방할 듯 합니다. 당장은 관찰하는 정도로 육아에 전념하시고,
시간이 지나고서도 같은 행동이 많이 반복된다면,
병원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쉬를 자주하는것을 빈뇨라고 하는데, 빈뇨는 사실 심리적인 영향이 큽니다. 아이생활에 큰 변화가있는 일이 있을까요? 가령 유친원을 바꿨던지, 동생이 태어났던지요
이런부분은 시간이 해결해 줄것 입니다. 아이른 믿고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고 생각이 된다만
걱정되신다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자님이 걱정이 될 정도로 빈도가 잦다면,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주변환경이 바뀌었거나, 또는 유치원에 다닌 지 얼마 안되었다면 적응하느라 약간의 스트레스가 있어서 그럴 수도 있으니 점차 나아질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최근에 스트레스를 받았다거나 심리적인 요인이 아니라면 아이들이 자라면서 소변을 자주 보는 경우도 있는데 금방 또 사라지기도 하니 너무 염려 안하셔도 될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상담은 우선 보류 하시고
지켜봐주시면서
쉬아를 한다고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마시고
밤에 수분을 섭취하지 않는 습관
화장실을 가는 습관을 들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아에게 흔한 빈뇨의 원인은 △요로감염과 같은 질환 △스트레스 △생활습관 △음식 등으로 다양하며, 다만 최근에는 10세 미만의 아이들도 과열된 경쟁 상황에 내몰리며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데다 불규칙한 수면 습관 등이 주된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