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을 구성하는 성분 중 호산구/호중구의 역할이 뭔지요?
남편 지인중에 복수가 차서 혈액검사를 했는데
호산구와 호중구 수치를 이야기하던데 뭔 얘기인지 몰라서요.
다른 거는 몇번 들어본 거라 익숙한데 호산구 호중구는 뭘 이야기하는
지 잘 몰라서요. 역할이 궁금해서요.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호중구는 백혈구의 40~70%를 차지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감염에 대해 방어하며 모든 염증반응에 있어 초기 반응을 빠르게 수행합니다. 호산구는 기생충 감염 및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호산구와 호중구는 혈액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세포들입니다. 호산구는 주로 알레르기 반응이나 기생충 감염 등에 대한 면역 반응을 담당하고 호중구는 주로 백혈구의 역할을 보조하여 감염된 세포들을 파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두 세포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를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혈액 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호산구와 호중구의 수치가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호산구와 호중구의 수치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호산구: 호산구는 가장 흔한 백혈구로서 세균과 같은 외부 세포를 파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염증이 발생하면 호산구가 해당 부위로 이동하여 세균을 퇴치하고 염증을 완화시킵니다.
2. 호중구: 호중구는 주로 알레르기 반응과 기생충 감염에 관여합니다. 기생충에 대한 면역 반응을 촉진하고 알레르기 반응을 조절하여 체내의 조화를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호산구는 기생충 감염을 방어하고 알레르기 반응을 조절하며, 호염구는 히스타민 분비로 염증반응을 방어합니다. 이 두 종류의 백혈구는 면역 세포로서 세균이나 곰팡이균을 퇴치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호중구는 백혈구의 과립구에 속한 면역세포로서 체내에 침투한 세균이나 곰팡이균을 퇴치하는 역할을 합니다. 호중구의 정상수치는 2,000~7,500으로, 이는 혈액 1㎕당 호중구가 2,000~7,500개 정도 분포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호중구의 수가 비정상적으로 감소되어 1,500개 이하로 감소된 경우를 호중구 감소증이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백혈구 감소증은 호중구 감소증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남편 지인분의 혈액 검사
결과에서 호산구와
호중구 수치가 언급되었는데요
이는 면역 체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백혈구의 종류와 관련됩니다.
호산구: 기생충 감염과 알레르기 반응에
주로 반응하는 백혈구입니다.
기능:
기생충을 포식하고 죽이는 역할을 합니다.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분비되는 히스타민과 같은 물질을 조절합니다.
정상 수치: 혈액 1μL당 0~400개
수치 증가:
기생충 감염 (예: 촌충, 폐흡충)
알레르기 질환 (예: 아토피 피부염, 천식)
일부 암 (예: 백혈병)
류마티스 관절염
수치 감소:
면역 체계가 약해진 경우 (예: HIV/AIDS)
스트레스
특정 약물의 부작용
호중구: 박테리아 감염에
가장 먼저 반응하는 백혈구입니다.
박테리아를 포식하고 죽이는 역할을 합니다.
염증 반응을 일으켜 감염 부위를 보호합니다.
정상 수치: 혈액 1μL당 2,000~6,000개
박테리아 감염 (예: 폐렴, 요로 감염)
염증 질환 (예: 류마티스 관절염)
조직 손상
특정 약물의 부작용
수치 감소:
면역 체계가 약해진 경우 (예: HIV/AIDS)
백혈병
골수 기능 저하
호산구와 호중구 수치는 혈액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 결과에서 이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감염, 알레르기,
염증, 면역 체계 문제 등 다양한
질환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 의료진의 진료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혈액 검사 결과 해석은 전문 의료진에게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위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이며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