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미래부자
미래부자

아이에게 용돈을 주면서 협박성 딜을 하는데 괜찮을까요?

아이에게 2주에 한번씩 용돈을 주면서 존댓말을 안하면 안줄거야 또는 시키는일 안하면 안줄거야 등등 협박성 말을 하는데 효과도 없는것 같고 고민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용돈을 주면서 협박성은 좋지 않습니다. 오히려 반발심만 불러 일으키고 용돈의 의미를 잘 파악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에게 경제교육을 시켜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용돈으로 부모가 자신을 컨드톨 한다는 느낌을 받게 되면 아이들은 자신의 삶의 가치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정기적으로 용돈을 주시는 것입니다. 정기적인 용돈은 아이의 생각을 키우고 아이에게 옳은 소비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고가의 물건을 사기 위해 돈을 아낄 수도 있고 매달 정기적인 용돈이 들어와야만 그 안에서 나의 소비 습관과 계획을 세울 수 잇습니다. 또한 인내와 절제도 배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용돈을 주면서 겁을 주는 경우는 교육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아이가 겁을 먹고 일시적으로 수긍하는 것일뿐 근본적으로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평상시 아이와 대화를 통해 용돈을 사용하는 방법과 용돈의 사용처

      를 확인해보면서 용돈사용 개념을 익혀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a하면b를줄께라는 훈육이나교육방식은 아이에게있어좋지않으면문제상황을인지하여 바꾸기어려우니 안쓰시는게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협박성 말투 말고 용돈을 주시면서

      이돈은 엄마 아빠가 더운날 일해서 힘들게 번돈이니 함부로 쓰지말고 지혜롭게 잘 쓰길 바래..

      혹시 쓰다가 부족하거나 하면 꼭 다시 말해주렴!

      이처럼 말씀을 해주시고 부모님으로 부터의 감사함을 느끼도록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협박성 딜은 좋은 굥육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아이와 대화를 통하여 규칙을 설정하고 그러면서

      용돈이나 아이의 행동규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해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용돈을 주면서 협박성 딜을 하면, 아이가 습관이 될 수 있으니, 이런 행동은 자제 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존댓말은 가족들 전체가 사용해 보기 바랍니다

      아이에게만 존댓말을 강요하기 보다는 가족이 함께 존대를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대화가 이어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댓가성 협박성 딜은 아이에게 상황만 모면하는 방법이 될 수 있으니,

      존댓말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 차분하게 이해를 시키고 설득을 시킬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무언가주면서 그걸로협박식으로말하면 당연히기분이나쁘고 그것이 훈육으로보이지않기에피해주시면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용돈을 이런식으로 주기보다는

      아이에게 이러한 부분과 용돈은 별개이지만

      인상의 가능성을 두시는 등 이렇게 하시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절대로 이렇게 금전적 대가를 통해서 예절교육을 하시면 안됩니다. 이렇게 되면 아이가 돈을 받는 것이 주목적이 되고 예절교육이 부수적인 게 돼 버리기 때문에 실질적인 교육의 효과는 없다고 보아야 합니다. 교육은 교육대로 정석적으로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상을 통한 교육이 너무 잦아지면 보상없이는 움직이지 않게 되니 주의해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