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4

블루길이나 베스같은 외래어종이 우리나라 토종 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블루길이나 베스같은 외래어종이 우리나라 민물의 생태계에 침범하여 붕어나 작은 토종어류들을 몽땅 잡아 먹어 통종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는데 이런 원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충실한재칼243
    충실한재칼24323.05.14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루길(bluegill)이나 베스(bass)와 같은 외래어종이 우리나라 민물 생태계에 침입하여 토지어류를 잡아먹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위적인 이식: 외래어종이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은 대부분 인위적으로 이식되었습니다. 이식된 외래어종은 기존 생태계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신의 번식 및 성장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가면서 증식합니다.

    2. 야생에서의 전파: 블루길이나 베스와 같은 외래어종은 인위적으로 이식되었다 해도, 그 후에 야생에서 자연스럽게 증식하거나 확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종들이 증식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립니다.

    3. 생태계 파괴: 외래어종들이 국내 생태계에 침입하면서 그들이 먹는 먹이와 서식지 등 생태계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 결과, 외래어종이 국내 생태계에서 다른 종들보다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게 되면서, 기존 생태계의 종들이 서서히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외래어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들의 이식 및 증식을 방지하고, 이미 침입한 종들을 제거하며, 국내 생태계에 적응 가능한 대안적인 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등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래어종이 토종 어종보다 번식력이 강하고

    토종 어종의 먹이를 다 먹어버려서 토종어종이 생존하기 힘들어져 그렇습니다


  • 배스 같은 경우 환경 적응력과 생존력이 강하며 성체 기준으로 개체의 크기도 큰 대형어종으로 수명도 8년 정도 됩니다. 토종 민물 어류를 닥치는대로 잡아먹으며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번에 낳는 알의 갯수도 많아 번식력이 어마어마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관리만잘하면 파괴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다른 전문가들은 아래와 같이 생각하는듯 합니다.

    인간의 환경 파괴: 인간이 환경을 파괴하고 쓰레기를 버리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생태계가 깨질 수 있습니다. 이런 인간의 환경 파괴가 외래종의 번식과 생존에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

    외래종의 생태학적 특성: 외래종은 본래 서식하는 지역과 다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외래종은 토착종보다 생존력이 더 높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생태학적 특성이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생물체의 이동성: 생물체는 인간의 이동성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외래종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생물체의 연결성: 생물체는 다른 지역의 생물체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외래종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래어종은 새로운 환경에서 대부분의 체제가 없기 때문에 다른 생물의 분포나 수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외래어종이 포식자로서 다른 생물의 수를 줄이거나, 경쟁하게 만들어서 토종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외래어종은 토종 생물보다 빠른 생장과 생식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수가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외래어종이 토종 생물과 경쟁하면서 그 수를 줄이거나, 토종 생물의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해당 종을 먹이로 인식하는 종이 없기 때문입니다.

    사람도 마찬가지이지만, 다양한 먹거리 중에서 잘 모르는 것을 먹는 경우는 없습니다.

    생태계의 동물도 마찬가지입니다. 새로 유입된 종은 기존의 동물들이 먹이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먹는 것을 꺼려합니다.

    하지만 먹는 활동은 다릅니다. 유입된 종에게 기존 동물들은 모두 새로운 종이지만 먹지 않으면 살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종을 섭식하며 빠르게 먹이로 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거죠.

    그 때문에 해당 종을 먹이로 인식하는 종이 생기기 전까지는 생태계에서 천적이 없는 포식자로 군림하며 생태계 파괴종이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 가끔은 기존 생태계에는 없는 유해균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어 해당 균에 취약한 기존 생태계 생물군이 크게 감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