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근면한고릴라163
근면한고릴라16323.12.06

겨울에 특히 우울해지는 이유가 뭔가요?

나이
25
성별
여성

단순히 춥고 무기력해서일까요? 겨울만 되면 항상 기운이 없고 부정적으로 변하고 이유없이 우울하고 눈물 나요. 겨울 타서인가요? 반면에 여름엔 엄청 활발하고 생기있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우울증은 외부 활동이 감소하는 겨울철에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이것을 '계절성 우울증'이라고 부르며, 겨울에 이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특히 '겨울철 우울증'이라고도 합니다.

    계절성 우울증은 늦가을에서 겨울로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 주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우울증을 겪는 환자들은 일년 중 4-5개월 동안 다음과 같은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1. 하루 종일 우울한 기분

    2. 의욕과 흥미의 현저한 감소

    3. 식욕과 수면 패턴의 변화

    4. 낮은 에너지 수준과 피로감

    5. 집중력 감소와 삶에 대한 무가치감

    6. 반복되는 자살 생각

    겨울 패턴 계절성 우울증은 다음과 같은 특징도 있습니다:

    1. 과다 수면

    2. 폭식 (특히 탄수화물)과 체중 증가

    3. 사회 활동 감소

    이러한 계절성 우울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뇌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의 변화와 일조량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햇빛은 세로토닌 수치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겨울철에 햇빛이 부족하면 세로토닌 수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은 하루의 일주기를 조절하며, 계절성 우울증 환자들은 이러한 루틴이 깨져 과다 수면 및 기분과 행동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비타민 D 농도의 감소도 관련성이 있으며, 겨울에 햇빛 노출이 부족하면 비타민 D 농도가 낮아져 세로토닌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계절성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아침 일찍 밖에 나가서 햇볕을 쐬는 것이 중요합니다. 햇빛은 세로토닌 수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광치료로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둘째, 규칙적인 운동과 일주기를 조절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셋째, 식사 습관을 조절하여 고당도 음식 대신 야채와 단백질 중심의 식사를 하고, 비타민 D와 오메가 3 같은 영양제를 섭취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계절성 우울증의 경향이 있다면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정신건강 전문의를 찾아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빠른 개입을 통해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말씀하신대로 감정변화에 계절적인 영향이 있습니다. 겨울이 오면 날씨가 추워지며 나뭇잎은 떨어지고 스산한 기운이 느껴지는데 이러한 변화로 인해 우울감을 더 심하게 겪는 환자도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