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귀여운뱀눈새254
귀여운뱀눈새254

백화점에 사람이 많은데 불경기가 맞나요?

오늘 신세계백화점에 갔었는데

생각보다 사람이 많더라구요

경기는 뷸황이라는데 이게 맞는건지 싶더라구요

사람마다 다른건지 좀 아이러니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 경제 상황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불황인건지 아니면 불황이더라도 회복중인건지

아니면 불황 초기인건지 알려주세요

데이터도 있으면 좋겠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용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시적으로 보면 실제로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0.8%로 매우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3분기부터는 수출의 비중보다는 내수의 비중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했을 정도로, 향후 재정지출(추경) 등의 영향으로 내수가 경제성장률에 차지하는 비중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개별적으로 보면 백화점의 유동인구가 많다고 무조건 경기가 좋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물품을 구매하지 않고 구경만 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근 백화점에서 고가품의 매출 하락에 대비하여 푸드매장을 늘리는 등 매장 리뉴얼을 한 영향도 백화점의 유동인구 증가를 불러왔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백화점은 사람이 많고, 상반기 매출도 저년 대비 0.3% 성장해 17조7659억원을 기록했지만, 전체적으로는 경제성장률이 2025년 0.7~0.8%에 그칠 만큼 불경기 상황입니다. 소비자심리지수도 7월 110.8로 높은 편이나, 소비자의 82.8%가 “가격부터 본다”고 답할 정도로 실질 소비 여력은 약화되었습니다. 즉, 백화점 일부 품목은 호황이더라도 한국 경제는 내수 부진, 수출 정제, 저성장 국면임을 보여주는 데이터가 많아, 불경기는 현실에 직면해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GDP는 최근 2025년 1분기에는 –0.2%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며 경기 침체에 해당했습니다.

    IMF 사태처럼 엄청나게 큰 급의 경기침체는 아니지만 경제성장률도 미미하며 GDP 성장률도 매우 적어 경기가 좋다라고 표현은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지요.

    처음 질문에 대한 답을 드리자면 대한민국은 경기가 엄청 안좋을 때에도 상위 10%의 부자는 경제적 어려움 없이 잘 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돈이 많은 사람은 항상 돈을 많이 쓰기에 경기가 안좋을 때에도 그들은 전혀 걱정 없이 살고 있습니다.

    이는 비단 현재에 그친 상황이 아니라 대한민국 역사 전체를 통틀어봐도 동일한 현상입니다.

    어려울 때는 서민만 어려운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백화점에 사람이 많은데 불경기가 맞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백화점에 사람이 많아 보이지만

    그 사람들이 다 소비를 하러 모인 것인지는 불확실 합니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에어컨도 잘 틀어주고 앉을 때도 많아서

    시간 보내기 좋은 장소입니다.

    또한, 우리 인구 5,200만명 가운데 백화점에 몇 모이는 것으로

    불경기아니다! 라고 말하기에는 그 표본이 적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에는 소비시장이 어느정도 살아났으며 완전히 소비가 안되는 시장은 아닙니다 그리고 2개월간 소비자심리지수가 100을 돌파하였고 6월에는 108 그리고 7월에는 110을 돌파하며 내수소비가 반등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그러다보니 백화점이나 내수경기가 살아나고 있어서 완전히 불황인 시기는 아닙니다.

    그리고 올해는 백화점의 유통업은 다른 소매업체들이 감소되고 있는 와중에 유일하게 0.5%가 성장하였습니다 그리고 백화점에서도 소비는 주로 음식료와 먹거리위주로 성장한게 크며 오히려 의류판매와 같은 사치재 소비는 늘지 않고 하락 정체횡보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즉 단순히 백화점내에서 사람이 바글바글하다고 단편적으로 해석하시면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백화점 가보면 사람 많고 줄도 길고 그래서 진짜 불황 맞나 싶을 때 많습니다. 근데 이게 전체 경기를 그대로 보여주는 건 아닙니다. 통계청 자료 보면 2025년 2분기 소비자심리지수는 98.4로 기준선 아래라 여전히 위축된 상태입니다. 특히 자영업이나 제조업 쪽은 체감경기가 더 안 좋고요. 반면 고소득층 중심 소비는 여전히 탄탄해서 백화점 같은 유통 채널은 잘 버티고 있는 겁니다. 그래서 지금 상황은 전반적으로는 불황 국면에 있지만 일부 업종이나 계층만 괜찮아 보이는 거고 회복까지는 아직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백화점에 사람이 많아도 소비 양극화로 불황일 수 있습니다. 상위소득층 소비는 유지되지만 중산, 서민층 소비는 위축되는 현상이 뚜렷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소비, 소매판매는 정체중이며 아직 회복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단편적으로 글쓴이님께서 백화점에 방문한 시점에 사람이 많다고해서 불경기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는 없는데요. 우리나라 경기가 매우 안좋다는 지표는 수출, 수입, 고용, 매출 등 다양한 지표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올해 경제성장률도 0%대일 정도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