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지수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주식 과열에 대해 애기하면 버핏 지수라고 이미 주식 과열 시기에 들어온지 한참 지났다고 하는데,
버핏지수는 어떻게 이루워져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지표는 워런 버핏이 2001년 포춘지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주식시장 가치평가를 위한 최고의 단일 지표일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널리 알려진 지표가 버핏지수이며, 이 지표의 핵심 아이디어는 한 국가의 모든 기업 가치의 합이 그 국가의 경제 규모인 GDP 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적정한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해당 공식은 버핏지수=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 / 명목GDP ×100 이렇게 구성되며 여기서 중요한점은 가장 일반적으로 윌셔 5000 지수시가총액을 사용하며 GDP는 실질 GDP가 아니라 명목 GDP를 사용합니다. 주식가격도 명목값이 기준이기 때문에 비교대상도 명목 GDP인것입니다. 그리고 보통 기준은 100~115% 정도면 약간 고평가된 상태라고 보며 여기를 초과하게 될경우 상당히 고평가된것으로 보고 지표가 높아질수록 증시가 고평가되었다고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버핏 지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버핏 지수란 전체 주식 시장의 시가 총액을
그 나라의 국내총생산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버핏 지수란 주식 시장의 전체 시가 총액이 그 나라의 GDP 대비 얼마나 커졌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GDP는 10조 달러인데 주식시장 시총이 20조 달러라면 버핏 지수는 200%로 산출됩니다. 버핏지수는 70~100% 수준이 적정으로 보며, 130%가 넘어가면 과열로 여깁니다.
버핏지수는 워렌 버핏이 제시한 주식시장 과열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버핏지수는 어떤 한 나라의 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을 그 나라의 GDP와 비교해서 계산하는데 계산식은
버핏지수 = (전체 주식시장 시가 총액 / 명목 GDP) x 100
입니다.
100% 이하이면 주식 시장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상태로 보며, 100~120% 사이면 적정 수준, 120%가 넘으면 과열 구간으로 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 국가의 명목GDP대비 현재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비율을 측정합니다
이 비율이 100을 기준으로 낮으면 저평가이고 높으면 고평가 구간으로 해석을 합니다
현재 한국의 경우는 115~120%정도이고 미국은 200%를 넘어섰습니다
그러니 투자자들이 미국시장은 너무 과열상태라고 평가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버핏지수는 전체 증시 시가총액을 GDP로 나눈 후 100을 곱합니다.
이 지수가 70% 보다 적으면 시장 저평가 80%~100% 적정, 100%이상되면 고평가, 130%~150% 는 과열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