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중국 시진핑체제에서 중국경제는 많이 발전했나요?

요즘 중국경제가 옛날만큼 성장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엄청 난 대국이 되었는데요 시진핀 체제에서 많이 성장을 한걵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시진핑체제에서는 국가의 성장은 매년 10% 이상 성장을 하였습니다. 다만 이러한 성장은 최근 들어 그 성장성에 둔화가 걸리며 약 5% 정도의 성장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겠지만, 인구 고령화에 따란 문제, 그리고 타국과의 무역 등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등으로 이러한 성장이 둔화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중국경제는 시진핑 체제에서 상당히 발전하고 한 때 미국을 위협할 정도였지만 트럼프 1기 당시에

      중국에 관세를 공격적으로 때리면서 경제 성장을 막았습니다

    • 그 뒤로 중국의 부동산 버블이 터지면서 중산층부터 살기가 팍팍해 졌습니다

    • 그 침체를 올해부터 이기고 올라가려고 했지만 또 다시 트럼프가 막고 있고 이번에 중국은 미국채

      매도를 통해서 미국을 압박했고 그 전략이 먹힌 모습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진핑 총리 집권 후 경제는 시진핑 시대(2012년~현재)는 중국 경제의 고속 성장과 함께 구조적 변화, 세계 경제에서의 영향력 증가 등의 특징이 두드러졌다고 할 수 있는데요. 중국이 미국 다음 초대강국이라는 입지를 다지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진핑은 지난 2012년부터 집권하여 13년째 장기 집권을 하고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중국 경제는 약2배 성장하여 2012년 8.5조 달러의 GDP에서 17.8조 달러로 확대되었습니다.

    2025년 1분기에도 관세 전쟁 중이라 5.4%의 예상 외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성장율 자체는 2012년 7.9%, 2023ㄴ년 5.2%, 2025년 목표 5%로 조금씩 낮아지고 있기는 합니다.

    또한 경제 체질 전환을 위해 "고품질 성장"을 강조하며 GDP 영웅주의에서 벗어나 첨단 제조업과 기술혁신 및 친환경 산업을 육셩하며 빈곤 퇴치 등 질적 발전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 때부터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시작되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러한 치적이 있으나 부동산과 지방정부 부채가 급증했고 소비 부진에 인구구조가 악회되었고 미중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졌습니다. 향후 시진핑이 어떻게 대처할 지 궁금하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시진핑 체제에서 중국 경제는 많이 발전하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진핑은 2012년 11월 후진타오 주석으로부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와 함께 주석이 되었고

    지금까지 재직하며 3연임을 하면서 중국의 경제를

    크게 올린 것은 사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