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에서 발달과업을 성취하지 못할 경우 각 연령별로 겪게 되는 심리사회적 위기와 이를 극복하는 방법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에서 아동기인 학령기에는 발달과업을 성취하지 못하면 열등감을 갖게 된다고 이 열등감을 갖게 된 자녀를 극복하게 하려면 어떠한 관심과 지지가 필요할까요? 그리고 아동기 이전 영아기와 유아기에 실패할 경우 갖게 되는 심리사회적 위기는 무엇이며 각 연령별로 어떻게 관심과 지지를 해주어야 하나요?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에서 각 연령별 발달과업을 성취하지 못할 경우 겪게 되는 심리사회적 위기와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어머니와의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이 시기에 어머니가 불안정하거나 아이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 아이는 불안감과 불신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머니나 보호자가 아이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에릭슨은 전 생애발달 이라는 개념을 제안한 최초의 인물 입니다.
그는 성격의 발달이 점성적 원리 즉 앞 단계의 발달이 이후의 연속된 단계를 예측할 수 있다는 원리에 의해 진행된다고 보았습니다.
에릭슨은 각 발달단계에서 심리사회적위기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면 긍정적 자아강점을 획득하며 개인의 성격이 발달한다고 보았습니다.
유아기 - 학령전기 에서 주도성 대 죄의식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을 통해 획득하게 됩니다.
아이가 영아기에와 유아기에 실패를 했을 경우 사회적 위기 (심리적 위기)는 부모나 환경에서 지나치게 제한을 받거나 비판을 받으면 자신감과 상실과 수치침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열등감을 가지게 된다면, 이후에 그시기에 못했던 과업을 성취하면서
이러한부분이 좋아지는 부분이 있을수있으며 자녀에게 자존감을 높일만한 활동을 해주시고 지지를 해주시면 도움이될것입니다.
이론은 총 8단계로 구성 되어 있으며 각단계마다 특정한 위기와 성취해야할 발달과업이 있습니다
영아기 0~1세
신뢰감대 불안감
어머니와의 상호 작용이 중요 합니다 애착형성이 발생 합니다
유아기 1~3세 자율성대 수치감 회의
부모와의 상호작용 이 중요 합니다 스스로 조율하는 힘을 기르는 시기 입니다
주도성 대 죄책감 3~6세
미취학 아동은 왕성한 호기심에 영향을 받아 주도적으로 행동 합니다
근면성대 열등감 6세 청소년기
학령기 아이들은 자신의 능력을 이해하기 시작 합니다
정체성대 역할 혼란 청소년기
청소년기는 자아를 탐구하는 시기 입니다
친밀감대 고립감 19~40세
청소년들은 친밀한 관계를 우선시 합니다
생산성대 침체성 40~65세
중년기에는 개인이 자신의인생에 기여한바를 되돌아 보게 됩니다
통합성대 절망감 65세 이상
마지막 단계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삶을 되돌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