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의료 보험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월급에서 4대보험은 얼마나 가져가나요?

4대보험은 모든 직장인이 의무적으로 납부하는 거라고 알고 있는데요. 월급의 몇프로를 차지하는지 궁금합니다. 소득이 많으면 비율도 높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되며, 월급의 약 9를 차지합니다. 국민연금은 4.5, 건강보험은 약 3.545, 고용보험은 0.9 퍼센트이며, 산재보험은 회사가 전액 부담합니다. 소득이 많아도 비율은 동일하게 적용되며, 단, 건강보험은 지역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득이 높아지면 보험료의 금액이 커지지만, 비율은 변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4대보험은 월급의 약 9%를 차지하며, 소득이 많아도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단, 일부 항목은 소득 상한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4대보험은 사회보험으로, 국가가 국민을 위해 운영하는 보험입니다.

    4대 보험요율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국민연금 9%

    건강보험 7.09%

    산재보험 - 업종별 상이

    고용보험 0.9%

  • 안녕하세요. 박경식 보험전문가입니다.

    ■ 4대보험은 정규직 직장인이라면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합니다.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 이렇게 4가지구요.

    (산재보험은 회사가 전액부담입니다)

    ■ 소득에서 % 로 부과 되기 때문에 소득이 많을 수록 보험료도 많이 떼게 됩니다.

    ■ 4대보험 개인 부담율

    1. 국민연금

    부담율: 월 소득의 4.5%

    회사와 직원이 각각 4.5%씩 부담합니다.

    1. 건강보험

    부담율: 월 소득의 3.545% (2025년 기준, 지역에 따라 약간의 변동 가능)

    장기요양보험료도 추가로 부담하며, 이는 건강보험료의 약 12.81%입니다.

    1. 고용보험

    부담율: 월 소득의 0.9%

    고용보험은 회사가 추가로 0.9%~1.65%를 부담하며, 실업급여와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에 따라 다릅니다.

    1. 산재보험

    개인 부담 없음. 전액 회사 부담.

  •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급여에서 약 4.5%를 인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월급이 높아도 4.5%로 동일하게 4대보험료는 나가게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