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그리운물수리18
그리운물수리18

어른들도 수족구에 전염될 수 있나요? 어른이 수족구 걸리면 어떻게 되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38

7살 아들이 아침에 몸이 이상한거 같다고해서 몸을 살펴봤더니 손발에 수포가 생겼더라구요 걱정한데로 병원 갔더니 수족구라고 하던데 전염성이 강하다고 하던데 어른들도 수족구에 전염될수있나요 어른이 수족구 걸리면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수족구병은 주로 영유아에게서 발병하지만, 성인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다만 성인의 경우 면역력이 어린이에 비해 높아 무증상 감염되거나 경증으로 앓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 수족구병의 증상으로는 발열, 인후통, 피로감 등의 전신 증상과 함께 손바닥, 발바닥, 입안에 물집 또는 발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부분 1주일 내외로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됩니다.

    그러나 임산부나 면역저하자의 경우 합병증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이와의 밀접 접촉을 피하고, 손씻기 등 개인위생에 신경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외출을 자제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필요시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수족구병은 손과 발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고 입안에 물집, 궤양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는 10세 이하에서 다발하지만 성인도 걸릴 수 있습니다. 3~7일의 잠복기를 거치면서 인후통, 발열, 수포를 동반한 발진, 무력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대부분 7~10일 이내에는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수족구병은 어린이들에게 주로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인데, 어른들도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어른들은 증상이 경미하거나 아예 증상이 없어서 감염된 사실도 모른 채 지나갈 수도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나타난다면 열이나 근육통, 인후통과 같은 감기몸살 증상을 보일 수 있고 아이들에게 나타나듯 손발바닥이나 구강 내에 발진 혹은 수포가 보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족구병을 진단받은 아이와 접촉한 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동일한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다른 건강한 아이들과의 접촉을 한동안 삼가셔야 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인도 수족구에 걸리면 증상은 비슷합니다. 손발입에 수포가 발생하고 발열및 오한이나 몸살이 동반될수있습니다.

    치료를 잘받으세요

    성인수족구는 헬스장등 사람많은곳에서 비말감염으로 이루어집니다

  • 어른들은 어릴때 이미 앓고 지나가서 면역력을 가진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면역력이 떨어져 감염될수는 있어도

    증상은 경미하게 지나갑니다.

  • 어른도 수족구에 걸릴 수 있습니다.

    증상은 소아보다 훨씬 경하게 나타나며 비특이적으로 나타날 수 있어 약한 몸살정도로 앓고 넘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 성인들이 수족구에 감염되었을 때 대부분은 증상이 미미하여 인지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으므로 가족 내에서 전염에 대해 주의해야 합니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 또는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바이러스 질환으로, 주로 발열과 함께 손과 발, 입 주변에 발진이 생깁니다. 이러한 증상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집단 생활을 하는 어린이들 사이에서 가장 흔히 나타납니다.

    .

    수족구병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3~7일로 짧습니다. 직접 접촉이나 비말을 통해 전파되며,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수영장에서도 전염이 가능합니다. 성인은 증상이 미미하여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여전히 전염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이미숙 교수는 성인 감염자가 자신이 수족구병에 걸렸음을 잘 모르고 영유아에게 전염시키는 경우가 많다고 언급했습니다. 따라서, 가족 모두가 철저한 위생 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

    수족구병에는 현재까지 예방 백신이 없으며, 치료는 주로 증상 완화를 위한 해열진통제와 충분한 수분 보충이 중요합니다. 위생 관리가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며, 외출 후 손 씻기를 생활화하고, 아이들의 장난감과 집기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