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이나 집에 오신 손님이 아이들에게 용돈을 줍니다. 5세 아이에게 언제 돈에 대한 개념을 알려주는 것이 좋을까요?
저는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부터 돈에 대한 개념이 생겼었고 돈을 아껴서 저축하는
습관을 어머니께서 알려주신 기억이 납니다.
유대인들은 어려서부터 돈에 대한 개념을 확고하게 심어준다고 하던데
아이가 초등하교 들어가기 전에 서서히 알려주는 것이 좋나요? 아니면
학교에 들어가고 나서 천천히 알려주는 것이 나을까요?
돈을 규모있게 쓰고 아껴쓰고 저축하는 습관을 어려서부터 교육을 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유아기부터 경제개념을 키워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렇게 해야 아이가 돈의 소중함을 알고 경제적인 규모를 갖추게 됩니다.
경제관념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돈이 무엇인지를 알려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https://tv.naver.com/v/25514775
아이에게 캐릭터 용돈기입장을 선물해준다면 아이가 스스로 기록해보면서 용돈이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 아이에게 용돈이 생겼을 때 아이 손을 잡고은행에 가서 아이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어 줍니다.
용돈이 생길 때마다/ 아이가 저축을 하고자 할 때마다 번거롭지만 은행에 주기적으로 방문해서 저축하는 것을 도와준다면
아이의 저축하는 습관이 자리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아이가 어리다면 시장놀이, 은행놀이를 하면서 경제개념을 키워줄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보드게임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유대인들은 아이들의 교육을 아이 스스로 자유롭게 배워나가는 학습을 통해서 아이들의 올바른 길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지도를 하고 있는데요.
아이의 경제교육은 아이와 어느 정도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면 조금씩 경제교육을 해주는 것은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마트에 장 보러 가는 것, 은행놀이, 보드게임을 통해서 경제교육 및 저축하는 습관, 용돈을 아껴 쓰는 습관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5세 정도의 아이에게는 간단한 돈의 개념과 저축의 중요성을 서서히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놀이를 통해 돈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이해시키고, 용돈을 통해 스스로 관리하는 경험을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부터 시작하면 돈 관리에 대한 기초를 다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본인이학생때배워서 괜찮았다면그때알려주셔도되고 그기억이아쉬웠다면더일찍하시면되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돈에대한개념을 설명하기보다는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익히게하세요 마트에서 물건사기 등을 통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