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기거나 딱딱한걸 많이 씹었을때 다음날 아파요
제목과 같이 질기거나 딱딱한걸 많이 씹었을때 어김 없이 다음날 아파요. 많이 씹지 않거나 일반적인 음식을 먹을땐 증상이 없습니다
해당 부위는 오른쪽 위 어금니로 약 20년전 깨져서 금니로 씌워 놓은 상태고 치과에서 상태 체크시 의사쌤이 두드려 보시면 항상 상태는 좋다고 합니다. x레이 상으로 안씌워진 부분은 괜찮다고 합니다.
증상이 있을때 마다 몇군데 치과를 가봤는데 치료방법이 다 틀리네요
1. 잇몸이 약해져서 그런거니 평상시 괜찮다면 질기거나 딱딱한걸 먹지 말거나 다른쪽으로 씹어라
2. 금니를 제거후 기존 이빨 치료후 다시 씌우자
3. 포승줄을 묶는것 처럼 이빨을 묶자
4. 임플란트 하자
5. 잇몸 수술하자
이빨을 보지 않고 판단하기 어려우시겠으나 일반적으로 저와 같은 증상이라면 어떻게 치료 계획을 세우는지요?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말씀하신 1~5가지 모두 치료 방법에 해당합니다. 금니로 씌워져 있기 때문에 검사에 한계가 있어 보존적인 치료 방법에서부터 침습적인 치료 방법 모두 1~5번까지 포함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보통 이러한 경우에는 대부분은 치아를 열고 상태를 확인한 다음에 문제가 있다면 발치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다만 말씀하신 것만으로는 정확한 판단이 어려우며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방사선 사진 등이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딱딱한걸 씹으면 당연히 치아가 불편감을 느낌니다. 치아가 많이 예민해진 상태이기 때문이죠. 저라면 일단은 잇몸치료후, 조심히 사용하시는걸 추천드리고, 그래도 불편감이 있다면, 보철물제거후 신경치룔->만약 치아에 금인많이 간경우라면 임플란트까지 고려해볼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효상 치과의사입니다.
직접 보지 않아 확답을 드리긴 힘듭니다만,
잇몸에 염증이 있어서일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는
치과에 가서 스케일링과 잇몸치료를 받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속 잇몸이 흔들리고 좋지 않다면,
발치하고 임플란트까지 해야할 가능성도 생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치아에 통증이 있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수 있습니다.
첫째로는 높은 교합에 의해 과도한 교합력이 걸려있을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과도한 교합을 조정해줘야 해요.
둘째로는 충치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이런경우에는 충치를 치료해 주는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치아에 금이 갔을수 있어요.
치아에 금이갔을경우에는 불편해도 사용할만하다면 사용하시지만 통증이 있으면 발치를 해야 할수도 있습니다.
치아 자체에 가해지는 힘이 강해서 생기는 통증이라면 치아에 가해지는 힘을 줄이는것만으로도 통증이 완화되기 때문에 치아에 가해지는 힘을 줄여보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치과병원에서 주기적으로 진료를 받아보시는것을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해당치아의 정확한 검사를 해봐야 알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무리하게 씹을때 통증이 있다면 치근단염증이나 치주염의 가능성이 잇습니다.
치근단염증이라면 신경치료후 크라운을 다시해야하고, 치주염이라면 잇몸치료 등을 하면서 조심히 씹는게 좋습니다.
염증이 이미 매우 심하다면 치료하기 어렵고, 임플란트를 해야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보철물의 교체시기는 씌운 치아나 주변 잇몸의 시림, 통증, 구취, 출혈, 치아 변색 등의 증상이 있을때 입니다.
크라운 내부의 치아도 썩을수 있습니다.
엑스레이로 크라운 안쪽의 상태 정확한 진단은 어렵습니다.
해당 치아의 잇몸질환 문제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크라운 제거후 진단 할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