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28

석굴암의 아치형 지붕의 과학적 원리가 있는지요?

예전에 친구들한테서 경주에 있는 석굴암이 과학적인 원리가 숨겨져 있다는 말을 들은거 같아서요. 석굴암을 받치고 있는 지붕이 아치형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과학적인건가요? 아니면 석굴암의 어느 부분이 과학적인 원리가 있는지 아시는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테나
    아테나23.10.28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석굴암의 바닥에 물을 흐르게 했는데, 바닥의 차가운 물로 인해 내부 습기가 바닥 쪽으로 모여들고, 물방울로 변하여 땅속으로 스며든다고 합니다. 이것은 한여름에 에어컨을 켰을 때 에어컨의 차가운 냉매 쪽으로 습기가 모여들어 습기가 사라지는 원리와 같아요.


    그러나 일제강점기때 일제가 이 바닥에 흐르는물을 보고, 이를 시멘트오 막아버려 습기와곰팡이가 생기기 시작했고, 이에 1960년 부터 복원하기 새작했지만, 재현해 내기 어려웠고, 이에 유리벽을 설치해 기계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석굴암에는 다양한 과학적인 원리가 숨겨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은 아치형 천장입니다. 석굴암의 천장은 아치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단순히 미적인 이유만 있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아치형 천장은 무게를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석굴암의 지붕이 아치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무거운 돌을 사용해도 무너지지 않고 지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치형 천장은 습기를 배출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석굴암은 토함산에 위치하고 있는데, 토함산은 습기가 많은 곳입니다. 아치형 천장은 습기를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석굴암 내부의 공기가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석굴암의 아치형 지붕은 과학적인 원리에 따라 형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석굴암은 자연적인 지질 현상으로 형성된 동굴이며, 그 형태는 지질학적 프로세스와 지하수의 흐름에 의해 결정됩니다.

    아치형 지붕은 동굴 내부의 암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암이나 저암 등의 단단한 암석이 아치 모양으로 형성되어 동굴의 지붕을 지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암석의 내부 압력과 지속적인 지하수의 침식 및 흐름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석굴암의 경우, 아치형 지붕은 주로 지하수의 침식과 흐름, 암석의 단단함 등 자연적인 과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정한 과학적 원리에 의해 형성되었다기보다는, 자연의 힘과 영향에 따라 형성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석굴암은 당시의 건축 기술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만큼 과학적으로 설계된 세계 유일의 인조 석굴입니다.

    보통의 석굴은 커다란 바위를 파내어 만들어요. 인도는 더운 기후 때문에 동굴이나 바위를 파내어 만든 석굴에서 수행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굴 속은 뜨거운 햇볕이 차단되고 더운 공기는 쉽게 빠져나가 온도가 10℃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되거든요. 그런데 우리나라의 바위는 대부분 매우 단단한 화강암이어서 당시의 도구와 기술로는 바위를 파내는 것이 무척 어려웠을 거예요. 그래서 돌을 둥근 지붕 형태로 쌓아올린 후 그 위를 흙으로 덮어 인조 석굴을 만든 것이지요. 석굴암이 세계에서 유일한 인조 석굴인 것은 그만큼 만들기가 쉽지 않다는 뜻이에요.

    석굴암은 사방에서 무거운 흙이 누르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져야 해요. 이 힘을 견디기에 가장 좋은 구조가 바로 '아치형 구조'입니다. 물을 건너는 다리의 구조를 잘 보면 아래의 기둥이 반원 모양인 것을 볼 수 있어요. 이러한 반원 모양의 아치형 구조는 위에서 누르는 힘을 골고루 분산시켜 큰 무게를 지탱할 수 있게 해주지요. 우리 발뼈도 안쪽이 움푹 들어간 아치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두 발로 걸을 때 몸 전체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거랍니다. 이러한 아치형 구조는 쌓다가 무너지기 쉬워서 매우 정교한 건축 기술이 필요하다고 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치는 무지개 모양으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아치는 위에서 누르는 힘을 양쪽으로 흩어서 구조물 전체에 무게가 나누어지도록합니다. 그러면 큰 무게를 버티는 것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