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아이들에게 논다는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단순하게 공부를 하지 않는 순간. 아무것도 하지 않는 순간. 좋아하는걸 하는 시간. 어떤 과정중에서 아이들은 논다. 놀았다. 라고 인지 할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이들에게 논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지 궁금해 하시는 것 같아요~

    단순하게 공부를 하지 않는 순간? 아무것도 하지 않는 순간? 좋아하는걸 하는 시간?

    교사가 원하는 방향과 목적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했을때 아이들은 즐겁게 활동을 해도 놀았다고 표현하지 않을 거예요.

    아이들이 주도해서 자유분방하게 놀이를 하고 있을때 논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내가 원하는 놀이(활동)을 주체적으로 이끌었을 때 논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예를 들면, 야외에서는 놀이터에서 논다거나 모래놀이를 하거나 축구를 하거나 술래잡기를 하거나 했을 때 등입니다.

    우리도 옛 적을 생각하면 공기놀이, 허수아비놀이, 정글짐 놀이 등 친구들과 주도하에 놀이 했던 기억이 재미있게 논 기억으로 자리잡혀있듯이 말이예요^^ 즐거운 놀이 시간을 통해 아이들의 사고력과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 사회성 등이 잘 자라고 있을 거예요^^오늘도 화이팅 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논다는것은 친구와 함께 어떠한 행동을 재미있게 하는거라고 이야기 하더라구요. 저도 그말을 아이한테 듣고 깜짝 놀랬는데 아마 아이도 논다는 의미를 알고 있는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노는 중 이라는 걸 의식적으로 구분하지 않습니다.

    흥미, 호기심, 몰입이 있는 순간 즐겁게 탐색하고 상상하는 시간 자체를 놀이로 인식합니다.

    따라서 공부나 쉼, 놀이의 경계보다는 즐거움과 자발성이 있을 때 아이는 스스로 놀았다고 느낍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노는 것은 단순히 쉬는 시간이 아니라 자기 주도적 경험과 탐색을 의미합니다. 장난감 놀이, 자연 관찰, 친구와의 상호작용 등에서 스스로 선택하고 시도하며 즐기는 순간을 아이들은 논다고 인지합니다. 즉, 놀이 속에서 호기심, 상상력, 문제 해결력, 사회성을 발달시키고, 경험을 통해 배우는 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공부하지 않는 시간도 의미있는 활동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들에게 논다는 것은 단순히 공부를 안 하는 게 아니라 자신이 주도권을 갖고 즐거움을 느끼는 시간입니다.

    상상하거나 친구들과 어울리고, 무언가를 만들거나 움직이는 모든 과정 속에서 아이들이 놀이로 인식합니다.

    결과보다 과정 속의 자유와 재미가 논다는 감각을 만들어 줍니다.

    그래서 아이에게 놀이는 쉼이자 배움의 다른 형태로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