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초록산
초록산

1868년 병인양요의 발생 과정은 무엇인가요?

1868년 프랑스가 침공해서 병인양요가 발생했는데요. 병인양요의 발발 원인과 전개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흥선대원군이 정권을 잡고 있던 시기 가장 대표적인 상징이 "척화"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존 조선의 유교, 성리학적인 체제를 흔들 수 있는 서학, 서양의 신분제라든지, 종교 같은 것들은 신분제 사회였던 조선의 기초를 흔드는 것이었죠. 그러던 중 1866년 천주교 금지령을 내리고 프랑스 선교사, 조선의 천주교 신자를 살해하고 박해함으로써 이에 대한 대응으로 프랑스에서 군대를 보내어 강화도를 공격하게 했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조선군의 선전으로 정족산성에서 프랑스군을 격퇴하자 프랑스군은 한달 정도 강화도에서 버티다가 약탈 후 돌아가게 됩니다.

  • 1866년 병인양요 발발 원인은 병인 박해입니다. 병인박해는 1866년 흥선대원군이 러시아를 견제하기 프랑스 선교사의 도움을 받아 프랑스 동맹을 시도했으나 무산되었습니다. 오히려 누적된 천주교에 대한 반감이 대대적으로 천주교를 탄압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당시 12명의 선교사 가운데 9명이 사망하였으며 수천명의 신자들이 처형되었습니다. 리델 신부가 중국으로 탈출하여 프랑스 함대 사령관 로즈 제독에게 병인박해 사실을 전달하면서 군사적 응징이 결정된 것입니다. 9월은 함대 3척이 양화진까지 정찰하고, 10월 1000명의 병사와 7척의 함대가 침략하여 강화부를 점령하였습니다.

    이에 조선은 한성근, 양헌수의 활약으로 프랑스군을 격퇴하였습니다. 프랑스군은 약 한 달간 강화도를 점령했으나, 정족산성 패전과 병참 문제 등으로 11월 10일 철수했습니다. 철수 시 조선의 문화재와 은괴 등을 약탈해갔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병인양요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조선에서 발생한 천주교 박해였습니다.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이 섭정하면서 국가 기강을 바로잡고 외세의 침투를 막기 위해 천주교를 엄격히 금지하고 탄압했습니다.

    그 결과 조선 내에서 활동하던 프랑스인 선교사 9명과 수천 명의 조선인 신자들이 처형되는 병인박해가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조선의 조치에 대해 프랑스는 강하게 반발하였고, 극동함대 사령관인 로즈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군대는 강화도를 침략하였습니다.

    1866년 10월, 프랑스 함대는 강화도를 침략하여 강화도 외성(광성보)을 점령하고, 강화읍을 일시적으로 장악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조선의 군과 백성들이 패배하고 수비총책 어재연 장군이 전사하는 등의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후 프랑스는 병력을 강화도에 주둔시키고 조선 정부에 천주교 탄압 중지를 요구했으나, 흥선대원군은 굴복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정족산성, 문수산성 등에서의 치열한 항전과 보급 문제 등으로 프랑스군은 점차 불리한 상황에 놓였습니다. 결정적으로 병력의 보급이 끊기고, 병이 퍼지자 프랑스군은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채 강화도에서 철수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