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필리핀 시장 진출을 위한 무역 절차와 물류 인프라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당사는 필리핀 시장에 진출하여 제품을 수출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필리핀이 복잡해서 현지 물류 인프라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중인데, 조언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필리핀 시장에 진출할 때는 현지 물류 인프라의 특성을 고려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도로 및 항만 인프라가 지역마다 차이가 크므로, 주요 도시와 물류 거점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항만과 공항을 활용한 복합운송 시스템을 도입하면 물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계절적 기후 변화로 인한 운송 지연에도 대비해야 합니다. 현지 물류업체와 협력하면 복잡한 통관 절차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된 만큼 온라인 플랫폼과 연계한 배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필리핀 시장 진출 시 복잡한 통관 절차와 높은 물류비가 주요 과제로 작용합니다. 필리핀은 수입업체를 등급별로 구분해 통관 절차를 차등 적용하며, 관세와 서류 검사가 까다로운 편입니다. 특히 마닐라항의 정체 문제와 높은 물류비는 물류 운영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Batangas, Subic 등 대체 항구를 활용하거나, 경제특구(PEZA) 혜택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효율적인 물류 운영을 위해 현지 물류 인프라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콜드체인과 같은 특화된 물류 서비스를 활용하는 전략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리핀 정부의 인프라 현대화 프로젝트를 주시하며 새로운 물류 경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현지 법규와 절차에 대한 철저한 사전 검토와 함께, 전문 물류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필리핀은 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 무역환경이나 물류 인프라 등 또한 지속적인 발전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진출을 처음하는 경우라면 현지 파트너쉽을 맺고 협력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며 일단 KOTRA의 자료 등을 참고하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https://openknowledge.kotra.or.kr/handle/2014.oak/3057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