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기발한무당벌레114
기발한무당벌레114

근본적으로 차멀미를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31

지금은 멀미를 전혀 하지 않는데 옛날에는 조금만 타도 멀미가 너무 심해서 고생했던적이 있었다보니까 혹시나 멀미는 뭐 때문에 하게 되는건지 궁금해서 한번 물어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멀미는 시각적 정보와 균형 기관의 정보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되는 증상입니다.

    시간이 지나며 익숙해지며 점차적으로 호전되나 심한 경우에는 미리 약을 복용하는 것으로 예방이 가능하겠습니다.

    흔들리는 차 안에서 시선을 고정하게 되는 책이나 전자기기를 시청할 경우 멀미가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차 멀미는 주로 몸이 감지하는 움직임과 눈으로 보는 정보가 서로 불일치할 때 생깁니다. 예를 들어 차를 타고 있을 때 귀 안에 있는 전정기관(균형을 감지하는 역할)은 차가 움직이고 있다는 걸 느끼는데, 눈은 가만히 있는 차 내부나 스마트폰 화면 등을 보게 되면 "움직이지 않는다"고 인식하게 되죠. 이처럼 감각 기관 사이의 혼란이 뇌에 혼동을 일으켜 멀미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멀미가 날 땐 창밖을 보거나, 정면을 주시하라는 조언을 듣는 거예요.

    또한, 어릴 때 멀미를 심하게 겪다가 나이가 들면서 멀미가 줄어드는 경우도 많은데, 이는 뇌가 점점 감각 불일치에 익숙해지고 적응하면서 멀미 증상이 완화되기 때문입니다. 신경계가 발달하면서 전정기관이 보내는 신호와 시각 정보 사이의 불일치에 대해 뇌가 더 잘 조절하게 되는 거죠. 반대로 피곤하거나, 스트레스가 많거나, 공복 상태일 때는 멀미가 더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멀미는 질병이라기보단 개인의 민감도 차이로 나타나는 생리적인 반응에 가깝고,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나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멀미가 심하다면 멀미약 복용, 자세 조절, 시선 고정 등의 방법으로도 충분히 완화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