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부의 부동산 금리인상과 미국경제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문재인 대통령 때의 부동산 정책관리와 현재 부동산정책의 변경 내용과 앞으로의 부동산 정책의 변화 어떻게 될것같은지요.정부의 대출 기준금리 정책 어떻게 될거지도 지요.
미국의 금리 우리 나라 경제 미치는 영향은 어느정도 까지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와 집값의 관계부터 말씀드리자면 반비례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는 국내외를 막론합니다. 통상적으로 금리가 0.5~1% 오르면 집값은 1~2% 내리고 금리가 내리면 집값은 오르게 됩니다. 대출금리가 상승하면 이자상환 등의 부담이 늘어나서 매물은 증가하고 반면 투자 수요는 줄어들죠. 반대로 대출금리가 내리면 이자 부담이 줄어든 매수자들이 부동산 매수에 나서게 되는데 집주인들은 매물을 회수하게 되면서 집값이 오르게 됩니다. 금리는 모든 자산가격의 변동을 좌우하는 핵심변수 역할을 하는 거죠. 지금처럼 장기적인 제로금리 수준에다 최대의 시중 유동성이 겹친 시기에는 부동산 등 자산가치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우크라이나vs러시아 전쟁등의 여파로 인하여 물가상승이 계속되고 있고, 이러한 충격속에 조금 더 강력한 금리인상 정책등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가 계속오르면서 금리역전현상 등을 방어하기 위해 우리나라도 최근 처음으로 빅스텝(50bp)을 시행하였습니다.
현재 상황이 부동산이나 주식 등의 자산가격에는 어느정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것이 분명합니다만, 발생할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금리인상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봐주시면 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세계에서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외인자본의 유출 및 자국 통화가치의 방어를 하기 위하여
미국의 기조에 맞추어 금리인상을 할 수 밖에 없으며 우리나라 또한 미국의 기준금리에 엄청난 영향을 받고 있고
미국의 기준금리에 따라 우리나라 주식시장, 부동산시장 등이 움직인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현 정부의 정책상 부동산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보이고 대외 경제여건상 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