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13

미국과 금리차이나면 자본이탈??

안녕하세요. 오늘 한국에서 금리인상을 했지만 아직도 미국과 금리차이가 많이 나고있습니다. 이렇게 금리차이가 많이나면 자본이탈이 발생한다는데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리있는 말입니다.

    미국과의 지나친 금리차이가 지속된다면

    외인들이 국내에 투자를 할 이유가 없고

    이에 따라서 외인의 자본유출 등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론적으로 선진국의 금리가 신흥국의 금리보다 낮아야 합니다.

    신흥국 입장에서는 기본적으로 위험도가 높으니 선진국보다 금리를 더 줘야 외국인들의 자본투자 유치를 할 수 있겠죠.

    같은 금리라면 더 안전한 선진국으로 돈일 몰릴 테니까요.

    따라서 신흥국인 우리나라보다 선진국인 미국의 금리가 높으면 기본적으로 자본 이탈에 대한 우려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 역시 오를 가능성이 높게 되죠.

    다만 실제로 지금도 미국 금리가 우리나라보다 높지만 생각보다 자본유출은 크게 일어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어느 정도는 펀더멘탈을 갖춘 나라이며 투자할 유인이 아직 남아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겠죠.

    게다가 미국이 금리인상 둔화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어서 환율 역시 꽤 내려온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3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이탈하려면 국내 크레딧 리스크가 반영돼야 하는 것이고, 이번 한미 금리 역전 이슈는 이전부터 당연하게 여겨졌던 것입니다. 따라서 이 일로 자금 이탈하는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금리 역전 이후에도 외인의 눈에 띄는 움직임이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가 심화될 경우 우리나라의 통화의 가치가 떨어져 원달러환율이 크게 상승하고, 이에따라 우리나라 원화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원화의 지속적으 가치하락이 예상될 경우 우리나라의 투자자산을 매각하고 외국으로 자금을 이탈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기준금리 차이가 심화될 경우 우리나라의 금융시장 불안정성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세계 최선진국에 금융 시장을 이끌고 있으며 미달러라는 압도적인 기축통화이자 안전자산을 보유한 국가입니다. 이런 국가의 기준 금리가 다른 주요국 보다 높다면 당연히 미달러 표시 자산의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

    금리라는 것은 위험의 크기이고 요구 수익률인데 지구상 가장 안전한 국가가 미국이고 해당 금융자산 또한 상대적으로 가장 안전하게 취급합니다. 이런 미국의 기준 금리가 한국이나 일본 등과 비교해서 더 높으면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미국 투자 비중이 증가할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