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과 미국이 EU산 상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협정에 타결을 했는데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경제 분야 뉴스를 보면 유럽연합과 미국이 EU산 상품에 대해서 15%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협정을 타결했다고 나와 있는데 이렇게 되면 우리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고 싶어요. 우리도 혜택이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먼저 EU와 미국 사이에 관세가 붙는다는 건, 두 지역 간 교역 비용이 올라간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EU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잃게 되고, 그 빈자리를 다른 나라가 채울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미국 수출 기회가 생길 수도 있지만, 제품 품목이나 업종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EU산 철강이나 기계류가 타격을 받는다면 우리나라 같은 경쟁국이 대체 공급자로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인 글로벌 수요가 위축되면 간접적인 악영향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내용으로는 단기적인 기회가 일부 업종에 생기겠지만, 혜택이 전방위로 퍼지긴 어렵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혜택보다는 협상에 대한 초조함이 더해진다고 판단됩니다.
현재 일본, EU는 내용과 관련없이 일단 관세합의를 완료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여전히 관세협상이 불투명하기에 만약에 8.1기준으로 협상이 완료되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25% EU는 15%를 기준으로 물품을 수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제품의 가격은 상승하고 경쟁력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다만 유일하게 긍정적인 부분은 EU의 협상내용이 매우 괜찮기에 우리나라도 일본보다는 나은 조건으로 협상하게 되지 않을까 입니다.
감사합니다
대부분의 EU산 수입품에 대해 일괄적으로 15% 관세 부과, 이는 미국이 예고했던 30~50% 수준보다는 낮은 수준이며 항공기, 반도체 장비, 일부 제약, 원자재 등 전략 물품은 0% 관세로 유지하는 ‘제로-포-제로(zero-for-zero)’ 항목료 협의했으며 추가 확대 방안을 모색 중입니다.
EU와 미국 간의 무역 긴장이 완화되면, 국제 무역 환경이 보다 예측 가능해지고 리스크가 줄어듭니다. 이는 한국을 포함한 제3국 기업의 수출 및 공급망 안정성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미국은 상호관세율 관련하여 개별 국가별로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들의 합의 소식이 속속 들려오는 상황으로 오늘은 EU가 미국과 합의했다는 내용을 들었습니다. 아무래도 일본과 EU는 특히 자동차 강국으로 우리나라와 경쟁하는 국가로서 우리나라도 최소 동일한 수준으로 관세율 협상이 되어야 하는데 협상기한이 얼마 남지 않았으며, 경쟁자들이 먼저 합의함에 따라 굉장히 어려운 상황에 처해졌습니다.
EU가 합의한 부분은 우리나라와 크게 관련은 없으며, 미국 시장에 경쟁력있게 진출하기 위해서는 상호 관세율을 최대한 낮춰야 하는 상황이지만 미국의 요구조건이 커지는 만큼 협상단도 고민이 클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