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새들이 걸으면서 고개를 앞뒤로 움직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우리가 주위에서 보는 비둘기가 닭 까치 같은 여러 새들을 보면 모두 걸을 때마다 고개를 앞뒤로 움직이면서 걷는데요 왜 새들은 걸을 때마다 고개를 앞뒤로 움직이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둘기와 같은 새들이 걸을 때 머리를 흔드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머리는 움직이지 않고 몸이 움직이기 때문에 고개를 흔드는 것처럼 보인다고 합니다. 인간의 경우에는 무엇인가를 정확히 보려면 끊임없이 안구를 굴려 시선을 움직이지만, 비둘기는 안구 근육이 발달하지 않아 물체를 자유롭게 볼 수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걸을 때마다 머리가 같이 움직이면 초점이 흐려지기 때문에 머리는 가만히 있고 몸을 움직이는 것이라고 합니다.

  • 새들이 고개를 앞뒤로 움직이는 것은 머리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이 움직임은 지지성 정지라고 불리며 새가 걸을 때마다 잠시 고정된 시점에서 환경을 관찰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이는 새가 움직이면서도 주변을 더 선명하게 보고, 물체의 위치와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비둘기는 포함한 일부 조류들이 걸을 때 목을 앞뒤로 움직이는 이유는 균형을 잡기 위해서 입니다. 감사합니다.

  • 고개를 움직이는 것은 균형을 유지하고 몸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도움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비둘기를 비롯한 몇몇 조류들이 걸을 때 머리를 앞뒤로 흔들게 됩니다.

    이런 움직임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걸을 때 머리가 먼저 앞으로 나가면서 무게중심이 앞으로 치우치며 몸이 따라가며 걷습니다.

    실제로 머리를 흔드는 것이 아니라 머리가 앞으로 나간 후 정지되고 몸이 따라가는 것이지만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흔드는 것처럼 보입니다.

    주변 환경에 따라 머리 흔들림의 정도가 다른데, 주변환경에 딱히 변화가 없으면 머리를 흔들지 않습니다.

    비둘기는 눈이 머리의 양옆으로 치우쳐 있어 입체시각이 약하고 거리감각도 약합니다.

    머리가 먼저 앞으로 나가 고정된 상태로 주변 시각을 처리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머리가 고정되어있으므로 시야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입니다.

    래서 짧은 순간 주변 상황을 파악하기 용이합니다.

    시각적 안정성을 위해 머리를 흔들기에 비둘기가 직접 걷지않고 사람이 들고가도 머리를 앞뒤로 흔드는 행위를 합니다.

    이런 머리 움직임은 짐벌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새들이 걸을 때 고개를 앞뒤로 움직이는 이유는 주로 시야를 안정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새들의 눈은 머리의 양쪽에 위치해 있어 시야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새들은 걸을 때 고개를 앞뒤로 움직입니다. 이런 움직임은 새들이 불규칙한 표면에서 걸을 때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죠.

    또한, 많은 새들이 먹이를 찾거나, 포식자를 피하거나, 동료 새들과 상호 작용하는 등의 이유로 명확한 시야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이런 움직임이 필요합니다. 특히 많은 새들이 먹이를 찾기 위해 고개를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새들이 걸을 때 고개를 앞뒤로 움직이는 것은 그들의 시야를 안정화하고 주변 환경을 더 잘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