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냉철한줄나비274
냉철한줄나비27423.05.22

우리나라도 '화폐 개혁'을 한 역사가 있나요?

화폐의 단위가 커지면 아무래도 실생활에서 가늠도 더디고,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장단점은 물론 다 존재를 하겠지만요.

우리나라도 과거에 개혁을 한 역사가 혹시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2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총 4번의 화폐개혁이 이루어졌습니다.

    1905년(제1차), 1950년 8월 28일(제2차), 1953년 2월 17일(제3차), 1962년 6월 10일(제4차)

    내용

    화폐개혁(currency reform)은 구화폐의 유통을 정지시키고 단기간에 신화폐로 강제 교환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인위적으로 화폐의 가치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화폐개혁의 방식으로는 구권을 신권으로 교환하거나, 고액권을 발행하거나, 통용가치를 절하·유통화폐의 액면가치를 법으로 정한 비율에 따라 절하·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특히 통용가치절하의 방식을 디노미네이션(denomination)이라 하며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의미를 갖는 화폐개혁은 1905년, 1950년, 1953년, 1962년 4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디노미네이션과 비슷한 말로 리디노미네이션(Re·denomination)이 있는데 이는 화폐의 가치는 그대로 두고 액면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디노미네이션은 우리나라에서 1950년대에 실시된 화폐개혁으로 화폐가치 절하와 함께 액면표시 방법도 환→원, 원→환으로 변경된 것을 의미하지만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가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모든 지폐의 액면을 동일 비율의 낮은 숫자로 조정하거나 새로운 통화 단위의 화폐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의와 평가

    1950년에 실시된 화폐개혁은 전쟁으로 비교적 오랜 기간이 소요되었지만 북한군의 경제교란 행위를 사전에 봉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동 화폐개혁은 이후 실시된 다른 화폐개혁처럼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진 것은 아니었으나, 158억원의 현금이 예금으로 전환되면서 인플레이션의 수습에도 도움이 되었다.

    1953년 실시된 화폐개혁은 시중에 남발된 통화와 그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수습하기 위해 시행된 개혁이면서도 경제부흥자금을 조달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긴급통화조치가 긴급금융조치와 함께 실시됨에 따라 화폐교환 시 일부 예금이 봉쇄계정에 동결되었기 때문이다. 이 조치로 전체 예금의 24%가 동결되면서 경제부흥을 위한 자금의 동원에도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

    1962년 실시된 화폐개혁은 당시 등장한 군사정부 하에서 재정적자 확대로 누적된 과잉유동성을 해소하고 부정축재자가 은닉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퇴장자금을 끌어내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정부의 예상과 달리 퇴장자금이 풍부하지 않았으며, 1953년 화폐개혁 당시보다 강력한 예금 봉쇄조치를 취함으로써 시중유동성 부족현상이 나타나 산업활동 위축을 초래하였다. 또한 갑작스런 통화개혁으로 경제혼란이 야기되면서 경기가 위축되자 예금봉쇄 조치가 시행된 지 한 달 만에 전면해제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화폐개혁 [Currency Reform, Re·denomination, denomination, 貨幣改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화폐 개혁은 1905년, 1950년, 1953년, 1962년 4차례 있었습니다.

    화폐정리사업으로 알려져있는 1905년 화폐개혁은 일본이 조선에 대한 경제침탈을 목적으로 행해진 개혁사업이기때문에 국가가 자주적 의지로 실시한 화폐개혁은 3차례 입니다.

    우리나라 화폐개혁은 경제적 이유보다 정치적 목적이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했고, 일부 화폐개혁은 긴급통화조치와 병행되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도 화폐 개혁을 하였습니다.

    맨처음에는 1905년, 1950년, 1953년, 1962년 4차례에 걸쳐 실시 하엿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차례 있습니다만 1905년은 일본이 조선에 대한

    경제침탈을 목적으로 행해진 개혁이었기 때문에

    국가가 자주적 의지로 실시한 화폐 개혁은

    1950년, 1953년, 1962년 3차례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20세기가 되어서도 일부 화폐개혁을 실시한 바 있습니다.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8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