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3.05

우리나라의 화폐개혁은 언제 무슨 이유로 실행했나요?

우리나라에서 화폐 개혁이 몇 차례 이뤄진 것으로 아는데, 언제 무슨 이유로 이루어졌나요?

화폐개혁으로 어떤 효과를 얻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화폐개혁은 1905년, 1950년, 1953년, 1962년 총 4차례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화폐개혁(currency reform)은 구화폐의 유통을 정지시키고 단기간에 신화폐로 강제 교환하는 조치를 통해 인위적으로 화폐의 가치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화폐개혁의 방식으로는 구권을 신권으로 교환하거나, 고액권을 발행하거나, 통용가치를 절하·유통화폐의 액면가치를 법으로 정한 비율에 따라 절하·하는 것 등이 포함됩니다.

    디노미네이션은 우리나라에서 1950년대에 실시된 화폐개혁으로 환→원, 원→환으로 변경된 것을 의미하지만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가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모든 지폐의 액면을 동일 비율의 낮은 숫자로 조정하거나 새로운 통화 단위의 화폐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화폐개혁은 1905년, 1950년, 1953년, 1962년 총 4차례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화폐개혁(currency reform)은 구화폐의 유통을 정지시키고 단기간에 신화폐로 강제 교환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인위적으로 화폐의 가치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화폐개혁의 방식으로는 구권을 신권으로 교환하거나, 고액권을 발행하거나, 통용가치를 절하·유통화폐의 액면가치를 법으로 정한 비율에 따라 절하·하는 것 등이 포함됩니다.

    디노미네이션과 비슷한 말로 리디노미네이션(Re·denomination)이 있는데 이는 화폐의 가치는 그대로 두고 액면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디노미네이션은 우리나라에서 1950년대에 실시된 화폐개혁으로 화폐가치 절하와 함께 액면표시 방법도 환→원, 원→환으로 변경된 것을 의미하지만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가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모든 지폐의 액면을 동일 비율의 낮은 숫자로 조정하거나 새로운 통화 단위의 화폐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화폐개혁 [Currency Reform, Re·denomination, denomination, 貨幣改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53년의 화폐개혁은 한국전쟁 중

    남발된 통화와 그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수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당시에는

    전란으로 생산활동이 위축되고 거액의 군사비가 지출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날로 더해지는 가운데

    세원포착이 어려워 세수가 감소함에

    따라 재정적자가 심화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05년 화폐개혁은 일본이 조선에 대한 경제 침탈을 목적으로 행해진 개혁사업으로 국가가 자주적 의지로 실시한 화폐개혁은 1950, 1953, 1962로 3차례입니다.

    1950년 화폐개혁은 한국 전쟁 중 실시되었는데 1950년 6월12일 설립된 한국은행은 업무 개시 13일만에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1950년7월 피난지인 대구에서 처음으로 한국은행권을 발행했고 한국은행권이 조선은행권과 함께 사용되고있던 가운데 전쟁 중 불법으로 발행된 화폐의 남발과 북한화폐의 유통은 경제를 교란시켜 정부는 이러한 사태를 수습하고자 1950년 8월 28일 대통령 긴급명령 제 10호로 조선은행권유통 및 교환에 관한 건을 공포하여 조선은행권의 유통을 금지하고 이를 한국은행권으로 등가교환했습니다.

    1953년 화폐개혁은 한국 전쟁 중 남발된 통화와 그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수습하기 위해 실시되었고 인플레이션을 조기에 수습하고 체납국세의 일소 및 연체대출금 회수 등을 목적으로 1953년 대통령긴급명령에 따라 제 2차 긴급통화조치가 실시되었습니다.

    1962년 화폐개혁은 높은 인플레이션 등으로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실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