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식 평균단가 낮추기하면 손해인가?

A 종목을 단가 1000원 100주를 처음 매수후 1000원에서 500원 으로 떨어저 평균단가 낮추기 위해 500원 100주를 추가 매수후 평균단가 낮추고 500원에 매수한 100주는 수익발생 하여 100주만 매도 하였는데 주위에서 그렇게 매도하면 원금에서 마이너스라고 하는데 이해가 잘 안돼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꽃다운숲제비193
    꽃다운숲제비193

    안녕하세요.

    물타기를 해서 종목 단가를 낮췄는데 낮아진 단가보다 주가가 올라가면 수익이 난겁니다.

    1000원에 매수를 해서 추가 매수를 해서 종목 평균단가를 800원으로 낮췄는데, 주식이 1000원->800원->900원이 된다면 최종적으로 수익이 난겁니다.

    종목 단가를 낮추는 경우에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한 주식이 앞으로 올라갈 것인지 그것을 판단하는 일입니다.

    내가 처음 매수한 주식이 내가 알 수 없는 이유로 하락하게 된다면, 내가 모르는 악재가 해당 주식에 있는 경우가 많고, 이런 경우에 물타기를 하면 더 큰 돈을 날릴 수가 있으니 신중히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 1) 1,000원으로 100주를 매수 한 경우

    평단가 1,000원 보유주식 100주

    2) 500원으로 100주를 추가 매수 할 경우

    평단가 750원 보유주식 200주

    즉 질문자님께서는 200주의 주식을 평균단가 750원에 매수하신겁니다. 따라서 750원 이하로 주식을 매도하실 경우 손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거죠 (수수료 생각해서)

    이해가 안 되실 경우를 대비해서 추가로 설명을 덧붙이자면 질문자님께서 600원에 100주를 매도했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만약 500원에 100주만 매수하신 상태면 { (₩600-₩500)×100주}, 즉 10,000원 만큼의 이득을 보시게 된거겠죠?

    하지만 평단가 750원 200주인 상태에서는 {(₩600-₩750)×100주}, 즉 15,000원 만큼의 '손실'을 보게 되신겁니다.

    만약 600원에 100주를 매도하신 상태에서 나머지 100주로 이득을 보실려면 (750×200 - 60,000)/100 = 900 , 즉 900원으로 주식을 파셔야 본전 (수수료 제외)를 찾게 되신다는 의미입니다.

    평단가에서 150원만큼 낮게 주식을 절반 파셨으니 나머지 절반의 주식이 150원만큼 감당하게 되는 거죠.

    위 설명이 이해가 안되신다면 단순하게 150,000원에 주식을 샀는데 그 중 절반을 60,000원에 팔았고 따라서 나머지 절반은 90,000원에 팔아야만 본전을 찾는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좀 더 명확해지시겠죠?

  • 평단가만 낮추어 졌을뿐 결국엔 현 매도 시점보다 매수금액이 높다는 겁니다.

    예로) 타 주식 계좌로 100만을 매수해서 상승해서 판다고 생각해 보시면 쉽습니다.

    본계좌 100 -30 = 70 타계좌 100 +20 = 120

    합은 190입니다 하지만 본전은 200되어야 하지요

    그렇게 하여도 결국에 내 주식 계좌의 매도 구간이 매수금액보다 낮다면 결국엔 마이너스 일수밖에 없습니다.

    평단이 낮추어졌어도 평단보다 낮게 매도하는건 무조건 마이너스 입니다.

  • 일단 바닥지지선을 잡았는지 확인후 분할매수로 물타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바닥지지선을 잡지않은채 물을 탈경우 오히려 더큰손실을 보게되며 한번에 많은 수의 비중을 늘리면 추후 대처가 곤란하게됩니다. 그리고 종목에 대한 가치를 보고 물을 타야지 마냥 물려있다고 물을 탈경우 총체적 난국에 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1000원에 100주 10만원 매입하셨습니다.

    그리고 떨어져서 500원에 100주 5만원에 매입하셨습니다.

    그럼 총 200주 15만원 평균단가 750원이 되는겁니다.

    그런데 질문자님께서는 500원에 산거에 대해서는 수익이 발생하여 매도를 하셨다고 하셨는데 단순히 계산하시면 그런 논리로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만 전체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평균 단가를 낮추는건 전체 금액을 낮춤으로써 물려있던 주식을 빨리 탈출 혹은 빨리 이익을 보기 위함입니다.

    평균단가 750원인데 500원에 매도를 하셨으니 전체로 보면 손해가 맞습니다.

    전체로 보셔야 합니다.

  • 질문자님께서 물어보시는 경우를 흔히 물타기로 합니다.

    처음 1000원에 매수한 주식과 두 번째 500원에 매수한 주식의 수가 같기 때문에 총 평단은 750이 되겠죠. 그렇기 때문에 주가가 750원 이상일 경우에 팔아야 이득인것이죠.

    위의 경우가 아니라 주가가 500원일때 물타기를 하고 600원이 됐을때 500원에 샀던 100주를 팔았다. 라고 하는 것은 본인이 가진 주식이 600원 이상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와같은 경우 물타기를 한 후 주가가 어느 적정 선에 올랐을때 전량 매도하는 것이 더 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너무 고점에서 평단낮추기하면 끝도 없습니다 평단낮추면서 오를꺼같다는생각이 안들면 손해보더라도 물타서 나와야됩니다.

    예를들어서 한 주식을 100원 최고점에서 100주를 매수를 했다고 과정을합니다 그러면 80원떨어졌을때 100주를 사서 평단90원에 맞추고 50원까지 내려오면 또 100주샀다가 50원까지 내려왔던게 80원가면 나오는게 물타서 나오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