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분할 매수 후 매도 시 손익 질문?
안녕하세요. 주식 매수 및 매도 시 발생 되는 이익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A라는 주식을 15,000원에 매수하고 주가가 하락해 물타기(분할 매수)로 몇 차례 매수 후 최종 9,000원에 매수를 마쳤습니다. 평단은 12,000원이 되었습니다.
그 후 주가가 조금 씩 올라 11,000원 쯤에 9,000원에 매수를 한 주식을 팔았으면 손실입니까? 이익이입니까?
총 금액에서는 손실로 나오지만 제가 매수한 최종 금액으로 봤을 때는 이익 아닌가요?
9,000원 매수한 주식을 팔았다고 하더라도 주식에 투자한 전체 금액으로 판단헀을 때는 남은 주식의 매도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이익 또는 손익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계산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들어 A주식을 15,000원에 10주 매수 후 9,000원에 10주 추가 매수 했다고 가정해봅니다.
15,000원 10주 매수 = 150,000원
9,000원 10주 추가 매수 = 90,000원
총 주식 수 : 20주
매수 총 가격 : 240,000원
총 매수가 / 주식 수 = 평단 = 12,000원
----------------------------------------------------------------
11,000원에 10주 매도 = 110,000원
남은 주식 수 : 10주
남은 총 가격 = 130,000원
남은 주식의 평단 = 13,000원
따라서 남은 10주를 주가가 13,000원 이상일 때 매도를 하여야 전체적으로 판단했을 때 이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물론 수수료는 제외하여 계산한 것이므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익이라고 판단하기 어렵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15,000원일 때 매수한 주식을 매도하고자 할 때 주가가 13,000원 이상이 되는 시점부터 이익이 발생하므로 이익을 발생하기 위한 부담을 줄였다고 볼 수는 있겠습니다.
손익 계산은 무조건 평균단가로 해야 맞습니다.
마지막에 매수한 단가가 9천원이라고 해서 그 단가만 보면 안 되구요.
어차피 매수하면 모든 매수단가가 녹아들어서 평균으로 매겨집니다.
평단이 12,000원인데 현재가 11,000원에 매도하면 손실입니다.
요즘은 증권사 앱이 잘되어 있습니다.
수수료도 고려해야 되구요.
수수료 포함 수익과
수수료 미포함 수익금액까지 알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투자금액 원금 과 매도후 현금금액 과 비교해보면
플러스인지 마이너스인지 알수 있겠지요....^^;
주식 매수후 주가하락으로 인한 물타기 과정으로 인해 평균단가는
낮추어 평단가 12000원인 상태인데요
님이 말씀하신데로 물타기한 물량이 매수가격보다 올라서 매도를 햇다면
그 물량만큼은 이익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평단가에 못미치는 물량은 반대로 손실이라는 얘기지요
물량수대로 따져보심이 손익계산이 쉬울겁니다. 아울러 홈트에서 자동으로 손익
계산이 나오므로 최종 매도가격으로 플러스 마이너스 결정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