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식 분할 매수 후 매도 시 손익 질문?

안녕하세요. 주식 매수 및 매도 시 발생 되는 이익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A라는 주식을 15,000원에 매수하고 주가가 하락해 물타기(분할 매수)로 몇 차례 매수 후 최종 9,000원에 매수를 마쳤습니다. 평단은 12,000원이 되었습니다.

그 후 주가가 조금 씩 올라 11,000원 쯤에 9,000원에 매수를 한 주식을 팔았으면 손실입니까? 이익이입니까?

총 금액에서는 손실로 나오지만 제가 매수한 최종 금액으로 봤을 때는 이익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Sungho95
    Sungho95

    9,000원 매수한 주식을 팔았다고 하더라도 주식에 투자한 전체 금액으로 판단헀을 때는 남은 주식의 매도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이익 또는 손익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계산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들어 A주식을 15,000원에 10주 매수 후 9,000원에 10주 추가 매수 했다고 가정해봅니다.

    15,000원 10주 매수 = 150,000원

    9,000원 10주 추가 매수 = 90,000원

    총 주식 수 : 20주

    매수 총 가격 : 240,000원

    총 매수가 / 주식 수 = 평단 = 12,000원

    ----------------------------------------------------------------

    11,000원에 10주 매도 = 110,000원

    남은 주식 수 : 10주

    남은 총 가격 = 130,000원

    남은 주식의 평단 = 13,000원

    따라서 남은 10주를 주가가 13,000원 이상일 때 매도를 하여야 전체적으로 판단했을 때 이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물론 수수료는 제외하여 계산한 것이므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익이라고 판단하기 어렵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15,000원일 때 매수한 주식을 매도하고자 할 때 주가가 13,000원 이상이 되는 시점부터 이익이 발생하므로 이익을 발생하기 위한 부담을 줄였다고 볼 수는 있겠습니다.

  • 손익 계산은 무조건 평균단가로 해야 맞습니다.

    마지막에 매수한 단가가 9천원이라고 해서 그 단가만 보면 안 되구요.

    어차피 매수하면 모든 매수단가가 녹아들어서 평균으로 매겨집니다.

    평단이 12,000원인데 현재가 11,000원에 매도하면 손실입니다.

  • 요즘은 증권사 앱이 잘되어 있습니다.

    수수료도 고려해야 되구요.

    수수료 포함 수익과

    수수료 미포함 수익금액까지 알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투자금액 원금 과 매도후 현금금액 과 비교해보면

    플러스인지 마이너스인지 알수 있겠지요....^^;

  • 주식 매수후 주가하락으로 인한 물타기 과정으로 인해 평균단가는

    낮추어 평단가 12000원인 상태인데요

    님이 말씀하신데로 물타기한 물량이 매수가격보다 올라서 매도를 햇다면

    그 물량만큼은 이익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평단가에 못미치는 물량은 반대로 손실이라는 얘기지요

    물량수대로 따져보심이 손익계산이 쉬울겁니다. 아울러 홈트에서 자동으로 손익

    계산이 나오므로 최종 매도가격으로 플러스 마이너스 결정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