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관 기형질문입니다 뇌혈관조영제검사
뇌혈관기형을 우연치않게발견햇는데
해면상혈관종 이라던데
뇌 mri랑 뇌ct 다받앗는데
1년에한번씩 더커지는지 경과만보고있어요
근데 다른병원 갈때마다
뇌혈관조영제 검사로 보자는곳도있고
굳이왜보냐는 병원도있는데
뇌혈관조영제검사가 부작용이있던데
꼭 뇌혈관조영제검사를 해야될까요?
그냥 ct mri 검사만해서 경과관찰만해도될ㄲ까요 ㅠㅠ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해면상 혈관종은 뇌 MRI나 CT로도 확인이 가능하지만, 혈관의 정확한 상태나 주변 조직과의 관계를 더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 뇌혈관 조영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뇌혈관 조영검사는 드물지만 부작용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검사의 필요성은 환자분의 상태와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결정됩니다.
현재 MRI나 CT 검사로 경과를 관찰하고 있다면, 다른 병원에서 뇌혈관 조영검사를 권유하는 이유를 자세히 문의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의 필요성과 부작용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듣고, 환자분께서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뇌혈관 기형 중 해면상 혈관종을 발견하게 되셨군요. 이미 뇌 MRI와 CT를 통해 검사를 받으셨고, 매년 크기 변화 여부를 관찰하고 계신 상황인 것 같습니다.
뇌혈관조영제 검사는 뇌혈관 상태를 좀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각 병원마다 이 검사를 추천하는 기준이나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조영제 검사는 비교적 세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조영제에 따른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위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 검사가 필요한지 판단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해면상 혈관종의 경우, 증상이 없고 안정적이라면 비침습적인 방법인 MRI와 CT를 통해 지속적으로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각 사례는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상태와 과거 검사 결과 등을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금 더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경과 관찰을 해온 병원에서의 소견을 들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진료에 대한 이견이 있다면 다른 병원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도 가능합니다. 어느 쪽이든 중요한 것은 질문자분의 건강 상태와 편안함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혈관이상을 확인하는데 있어서 가장 정확한 것은 뇌혈관조영술입니다.
따라서 혈관기형이 의심이 될 때 한번은 혈관조영술을 통해서 정확하게 진단을 해보는 것이 좋기는 합니다.
이후 추적관찰은 조영제를 사용한 CT, MRI 등으로 하셔도 될 것입니다.
단지 담당의사가 혈관조영술은 필요하지 않고 CT, MRI 만으로 진단이 가능하다고 하면 그렇게 하셔도 됩니다.
"왜 저병원은 혈관조영술을 해야한다는데 여기는 안해도 된다고 하지? 뭘 알고 이야기하는건가?"
이런 의문은 굳이 가지지 않으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