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4.04.18

문득 궁금해 지는데 우리나라에 과학수사는 언제 도입되었나요?

최근에 드라마를 보다 보니 과학수사가 우리나라에 도입된지 오래되지 않은것 같더라구요 문득 우리나라에 과학수사는 언제 처음 도입되어서 지금까지 발전되었는지 역사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과학수사대 역사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1948년, 내무부에서 감식과와 법의학시험소를 합쳐서 감식과(법의학계, 이화학계, 지문계)를 설치한 것이 최초 시작입니다. 그러다 1963년, 지방 시 도 경찰국에 수사과 감식계를 설치하여 그 수를 점점 늘리게 되었고 1999년, 경찰청 수사국 과학수사과가 개편되면서 감식에서 과학수사로 본격적으로 명칭이 바뀌게 되면서 현재까지 오게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05년 일본이 우리나라의 외교관을 박달하기 위해 대한제국 정부를 강압해 체결한 을사보호 조약은 실질적으로 대한제국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계기가 됐습니다. 1909년에는 사법권과 감옥사무를 일본에 박탈당했고 같은 해 10월에는 통감부 감옥관제를 공포에 시행하다 1910년 우리나라가 일본에 합방되자 동관제를 폐지하고 조선 총독부와 소속 관서의 관제를 제정했으며 조선총독부 관혹 관제도 제정이 되어 10월 1일부터 시행이 되었습니다 한편 1911년에는 일본의 형법,동시행령,형사소송법 등 11개 법률을 인용하도록 규정했고 동형법의 누검 가중제를 합리화하기 위해 조선총독부 법리국 행형과에 지문계를 설치하고 전국 형무소의 수용자 지문을 채취해 누범 조건인 전과 유무의 확인 자료로 이용했습니다 그 뒤 자연 발생적으로 범죄현장에 유류된 지문에 의해 범인을 수색하는 단계까지 이르러 1931년 8월 경기도 경찰부 형사과에 지문계를 설치하고 수형자는 물론 범죄 용의자와 경범 위반자 등의 지문을 채취해 보관하고 인사감정에까지 이용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