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는 어두운 곳에서 사람을 어떻게 찾나요?
보통 벌레는 빛에 이끌려서 모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기는 어두운 곳에서도 사람을 찾아내는데, 모기는 어두운 곳에서 사람을 어떻게 찾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모기는 사람의 이산화탄소, 체온, 땀냄새를 감지하는 후각과 열감지수용기를 가지고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활용해 어둠속에서도 정확히 대상을 추적합니다.
빛보다는 생체신호에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고있기때문에, 야간에도 효과적으로 사람을 찾아서 물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모기는 주로 빛이 아닌 다른 감각 기관을 활용하여 사람을 찾는데, 특히 후각과 열 감지 능력이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사람이 숨을 쉴 때 내뿜는 이산화탄소는 모기가 사람을 찾는 가장 중요한 신호 중 하나입니다. 모기는 작은턱수염에 있는 감각 기관을 통해 최대 50m 밖에서도 이산화탄소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곳은 사람이나 동물이 있을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는 거죠. 그래서 신진대사가 활발하거나 몸집이 큰 사람, 임산부, 어린아이 등이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배출하기 때문에 모기에 더 잘 물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 사람의 몸에서 나는 체취와 땀 냄새도 모기를 유인하는 요인입니다. 땀에 포함된 젖산이나 요산, 암모니아, 지방산 등 400여 가지의 화합물은 모기의 더듬이에 있는 후각 수용체를 통해 사람이 있는 방향을 알려줍니다. 특히 카복실산 같은 특정 화학 성분을 많이 배출하는 사람이 모기에게 더 많이 물리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그리고 모기는 체온을 감지하는 능력도 뛰어납니다. 사람이 내뿜는 열을 통해 숙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죠. 모기는 따뜻한 곳을 좋아하며, 20cm 이내로 접근하면 열을 감지해서 사람을 정확히 찾아 낼 수 있는 것입니다.
모기는 시각이 아닌 후각과 열 감지를 통해 어두운 곳에서도 사람을 찾습니다. 사람은 호흡할 때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데, 모기는 수십 미터 밖에서도 이를 감지하여 목표물의 방향을 파악합니다. 가까이 접근한 후에는 사람의 체온과 땀에 포함된 젖산, 암모니아 등의 냄새를 통해 최종적으로 공격 대상을 특정합니다. 따라서 빛이 없는 환경에서도 이러한 감각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사람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모기는 어두운 곳에서도 사람의 숨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체온, 피부 냄새와 습도를 감지해 사람을 찾아내며, 빛보다는 이런 화학적 및 열적 신호를 이용해 목표를 찾는 것이 특징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모기는 이산화탄소, 체온, 땀 냄새로 사람을 찾아요
빛보단 숨쉴때 나오는 co2와 열에 더 끌리는거죠
안녕하세요.
네, 질문주신 것처럼 모기는 정말로 어두운 곳에서도 사람을 잘 찾아내는데요, 그 이유는 빛이 아니라 다른 감각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모기가 어두운 곳에서도 사람을 찾는 것은 이산화탄소(CO₂)를 감지하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숨을 쉴 때 내뱉는 이산화탄소를 모기는 아주 민감하게 감지하는데요, 10~50미터 거리에서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는 공기 중에 퍼지기 때문에, 모기가 방향을 따라가다 보면 사람에게 접근하게 됩니다. 또한 모기는 온도 감지 능력이 있어서, 주변보다 따뜻한 인간의 체온을 탐지할 수 있는데요, 특히 얼굴, 목, 손 같은 열이 많이 나는 부위를 잘 찾아냅니다. 게다가 사람의 피부에서 나는 젖산, 암모니아, 지방산 등 냄새 분자를 모기가 감지하는데, 개인마다 냄새가 달라서, 어떤 사람은 모기에 더 잘 물리는 이유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