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펀드 기준가에서 수정기준가가 뭘 말하는 건가요?

펀드를 사고 팔 때 가격을 기준가라고 합니다. 그런데 펀드를 보다 보니 수정기준가라는 것이 있더군요. 그냥 기준가와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르던데 수정기준가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설정시점부터 현재까지 결산이 없었을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를 가정한 기준가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펀드의 수정기준가가 1만원이라면, 기준가가 처음에 천원으로 시작하니까요, 그 펀드가


    설정될 당시에 만약 투자를 했다면 현재 10배의 수익이 났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거죠.


    수정기준가는 결산의 영향 없이 특정 펀드의 수익률이 얼마나 성장했는지 확인해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에서 말하는 수정기준가라고 하는 것은 펀드는 보통 1년마다 '결산'작업을 통해서 펀드의 손익현황 및 세금등을 정산하고 기준가를 다시 1,000으로 설정하게 되는데 각 투자자의 '좌수'를 조정하는 작업은 기준가격만으로 수익률을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없게 되요.

    그래서 펀드의 손익현황을 보다 쉽게 알아보도록 결산 후 기준가를 1,000으로 조정하지 않았다고 '가정'을 하고 손익현황이 그대로 반영되어진 기준가를 산출하게 되는데, 이 기준가가 바로 수정기준가라고 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는 1년마다 결산작업을 통해 펀드의 손익현황 및 세금 등을 정산하고 기준가를 다시 1,000으로 설정하면서 각 투자자의 ‘좌수’를 조정하는 작업을 거치게 됩니다.

    디만, 기준가격만으로 수익률을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없기 때문에 펀드의 손익현황을 알아보기 쉽도록 결산 후 기준가를 1,000으로 조정하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손익현황이 그대로 반영된 기준가를 산출하는데, 이렇게 산출된 기준가격을 ‘수정기준가’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