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기준가에서 수정기준가가 뭘 말하는 건가요?
펀드를 사고 팔 때 가격을 기준가라고 합니다. 그런데 펀드를 보다 보니 수정기준가라는 것이 있더군요. 그냥 기준가와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르던데 수정기준가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설정시점부터 현재까지 결산이 없었을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를 가정한 기준가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펀드의 수정기준가가 1만원이라면, 기준가가 처음에 천원으로 시작하니까요, 그 펀드가
설정될 당시에 만약 투자를 했다면 현재 10배의 수익이 났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거죠.
수정기준가는 결산의 영향 없이 특정 펀드의 수익률이 얼마나 성장했는지 확인해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 결산과정을 하면 기준가격은 다시 1000으로 재조정이 되는데
이러한 재조정이 없다고 가정하고 수익율을 누적시켜서 계산하는 기준가격이
수정기준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에서 말하는 수정기준가라고 하는 것은 펀드는 보통 1년마다 '결산'작업을 통해서 펀드의 손익현황 및 세금등을 정산하고 기준가를 다시 1,000으로 설정하게 되는데 각 투자자의 '좌수'를 조정하는 작업은 기준가격만으로 수익률을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없게 되요.
그래서 펀드의 손익현황을 보다 쉽게 알아보도록 결산 후 기준가를 1,000으로 조정하지 않았다고 '가정'을 하고 손익현황이 그대로 반영되어진 기준가를 산출하게 되는데, 이 기준가가 바로 수정기준가라고 하는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는 1년마다 결산작업을 통해 펀드의 손익현황 및 세금 등을 정산하고 기준가를 다시 1,000으로 설정하면서 각 투자자의 ‘좌수’를 조정하는 작업을 거치게 됩니다.
디만, 기준가격만으로 수익률을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없기 때문에 펀드의 손익현황을 알아보기 쉽도록 결산 후 기준가를 1,000으로 조정하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손익현황이 그대로 반영된 기준가를 산출하는데, 이렇게 산출된 기준가격을 ‘수정기준가’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