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과연행복할수있을까요
과연행복할수있을까요

미국 관세수입 증가가 무역정책 고착화시키는 이유가 뭘까요?

2025년 상반기 동안 미국의 관세 수입이 지난해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는 보도를 봤는데, 이게 정부 재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면서 트럼프식 보호무역 기조가 정치적으로도 계속 유지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라는 분석이 있더라고요. 관세를 일단 부과하면 정책적으로도 되돌리기 어려워지는 구조인지, 실무에선 이런 흐름을 어떻게 예측하고 대응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 수입이 한 번 올라가기 시작하면 정부 입장에서는 그게 일종의 고정 수익처럼 느껴지기 시작합니다. 예산 짜는 부서에서는 그 돈을 당연히 들어올 항목으로 보고 지출 계획을 세우고요. 이게 문제인 게 나중에 관세를 없애자고 하면 갑자기 세수가 줄어드는 상황이 되어버리는 겁니다. 그러면 정치적으로도 부담이 커지고 산업계에서 로비가 붙기도 합니다. 특히 미국처럼 재정 적자 압박이 큰 나라에서는 관세 수입이 실질적인 재원으로 자리 잡아버리면 단순한 무역 조치가 아니라 일종의 세금처럼 굳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이런 흐름이 일시적 조치로 끝나지 않을 수 있다는 전제를 두고 장기 관세 전략을 따로 짭니다. 협정 관세 활용이나 생산지 이전 검토 같은 대응을 미리 해두는 편입니다. 갑자기 조정되기 어려운 구조라는 점에서 기업들도 단기 대응보다 구조적 리스크 관리에 더 집중하는 흐름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관세 수입이 늘어나면 정부 입장에선 재정 확보 수단으로 작동하게 되고, 정치적으로도 철회 명분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 번 부과된 고율관세는 이해관계가 얽히기 때문에 단기간 내 되돌리긴 쉽지 않고, 실무에선 이를 감안해 계약조건에 탄력조항을 넣거나 제3국 경유 방식, FTA 우회 적용 등으로 대응하려는 흐름이 뚜렷합니다. 당장은 정치적 상황보다 실제 적용 여부를 중심으로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게 더 현실적이라 판단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대로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이를 되돌리기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반기 수요의 경우에는 미래의 수요를 당겨온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미국 물가 인상에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바, 결국에는 물가에 전체적으로 반영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물가인상은 결국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되고 미국의 재정정책에 큰 타격을 줄 수 밖에 없기에 이러한 측면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관세가 지속되면 기업들도 그에 맞춰 공급망을 바꾸게 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 기업이 미국에 수출하던 물량을 중국에서 조달했다가 고관세가 붙으면, 베트남이나 멕시코를 경유하거나 아예 미국 내 생산기지를 만들게 됩니다. 이런 변화가 일어나면, 나중에 관세를 없앤다고 해도 공급망을 다시 되돌리는 건 쉽지 않을 것이고 이처럼 관세는 일단 도입되면 기업의 의사결정과 물류구조까지 장기적으로 고착시키는 힘을 가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