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아이들이 멍때리고 있으면 가만히 두는게 좋다던데 정말 그런가요?

제가 기억하고 있는 기억의 출처가 정확히 생각은 나지 않지만 듣고 보았던 내용을 설명해드리자면 아이들이 가끔씩 속된말로 멍때린다고 하죠. 멍~하고 있으면 뇌가 집중을 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일부러 불러서 깨우거나 흔들지 마라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되도록이면 혼자서 뭔가 할때 내버려 두는 편인데 전문가 선생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끔 아이들이 멍 때리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2001년 미국의 뇌 과학자 마커스 아이들 박사는 멍 때리는 것이 좋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멍 때림을 통해 긴장도 풀어지고, 몸이 피로도 줄일 수 있으며 뇌 발달에 좋다고 하는데요.

      아이가 멍 때린다면 육체적/ 신체적으로 피로가 높기 때문 일 수 있습니다.

      아이의 에너지 대사를 확인해 주세요. 에너지 대사에 문제가 있으면 주의 집중력이 떨어지고 만성피로를 느끼게 됩니다.

      아이 멍때리기 개선법으로는

      첫째, 아이의 눈을 보고 이야기 하세요.

      아이가 멍한 모습을 보일 때는 아이의 어깨나 팔의 잡고 두 눈을 보며 이야기를 해주세요.

      둘째, 메모하는 습관을 길러주세요.

      메모하는 습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해야 할 일에 노출시켜 주세요.

      셋째, 식단 관리를 해주세요.

      평소 밀가루와 유제품을 많이 섭취했다면 빈도를 죽여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멍때리는 것은 넋이 나간 것처럼 한눈을 파는 상태를 뜻하는데

      과거에는 멍때리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습니다.

      집중을 못하고 무의미하게 시간을 보낸다는 이유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인식이 바뀌고 있습니다. 미국의 뇌과학자에 따르면

      뇌가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을 때 뇌의 전전두엽과 측두엽, 두정엽이 활성화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굳이별다른이유가없다면그냥두셔도무관함우리가알듯이 멍하는것은 뇌의과부하의 휴식정도로보시면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멍때리면 굳이 무슨일이없으면 안건드리는것이좋을수있으나 건드려도문제될건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이 보시기에 아이가 하는 행동은 멍하니 하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아이들은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랍니다

      되도록 아이가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을 땐, 아이의 활동을 존중해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뭔가에 집중하고 있을 땐 부모가 다른 활동으로 유도를 하거나 아이 이름을 계속해서 부르게 되면

      아이의 집중력이 흐트러질 수 있으니, 되도록 아이가 뭔가에 집중하고 있을 땐 지켜 보고 있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끔 일시적으로 멍을 떄리는 것은

      아이가 아무생각없이 그러는 것이라 괜찮아요

      그러나 멍 때리는 것은 너무 많거나 그러면

      뇌전증을 의심하기도 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멍 때리는 것을 뇌의 휴식을 취한다고 보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러나 지나친 멍때리는 것과 이상증세를 보이면 특정 질환이

      의심되기도 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