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부유한물범219
부유한물범21923.03.10

아이 훈육할때 때리면 아이에게 안좋은 기역으로 남겠죠?

안녕 하세요 아이 키울때 가끔 아이들이 말을 잘 듣질을 않잖아요 그럴때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훈육할때 때리면 조용하고 말을 잘 듣는데 그래도 때리는건 아이에게 안좋은 기역으로 남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올바른 훈육을 위해서 약간의 체벌은 괜찮다라고 하는 경우가 있지만,

    물리적 체벌이 지속될 경우 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받게됩니다.

    스트레스 호르몬이 뇌의 장기기억 공간인 ‘해마체’ 같은 뇌의 일부분에 독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가급적 체벌은 하지 않아야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꽃으로도 아이를 때리지 말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이의 체벌은 아이에게 커다란 상처로 남아서 흉터가 새겨 집니다.

    아이에게는 떠올리기 싫은 기억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체벌은 공포 그 자체 입니다. 맞고 자라는 아이는 행복한 삶을 살 수 없습니다.

    자기 스스로 사회에 낙오자라 여기면서 자신감 및 자존감을 상실해서 자기를 가치 없는 존재라 여기면서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우리 아이가 사회에서 무의미 하게 살아가게 할 순 없잖아요. 우리 아이가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이 모두 부모의 마음이지 않을까요?

    훈육이라는 것이 꼭 체벌을 해야만 하는걸까요?

    아이에게 부드럽고 단호하게 말하여 주어도 아이는 모난 행동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아이의 마음을 조금만 알아주고 감정을 공감해 준다면 아이는 뾰족한 가시를 세우지 않을 것 입니다.

    모든 것은 부모님이 어떻게 아이를 양육하고 가르치느냐에 따라서 아이의 행동이 좋고, 나쁨이 나타난다고 생각 되어집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부모는 아이의 거울이니 부모님 먼저 아이에게 모범 역할이 되어주는 모델링 역할을 잘해주세요 된다고 생각 되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그렇습니다. 훈육에 있어 체벌은 일시적 작용일 뿐 아니라 아이에게 상처로 남게 됩니다.

    뿐만아니라 말을 강하게 하는 것도 언어적 폭력이 될 수 있습니다.

    훈육 시 감정이 섞이게 되면 정확한 의도전달을 방해하여 혼란만 가중시키게 됩니다.

    세계 여러나라에서 체벌이 오히려 아이를 망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떤 상황에서라도 때리는 행위는 안됩니다. 기억뿐만 아니라 트라우마가 될 수도 있습니다. 말로 타이르시고 말로도 충분히 단호하게 할 수 있으니 절대 때리는 훈육은 하지않으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체벌은 훈육에 있어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입니다.

    아이에게 공포심과 불안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잘못된 행동을 언어로 훈육하시는 것이

    올바른 훈육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소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훈육 시 아이를 때리는 방법은 효과도 없고,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아주 좋지 않은 방법입니다.


    아이에게 체벌을 가하는 방법으로 말을 듣게 한다면, 아이는 일시적으로 말을 듣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근본적인 태도를 바꿀수는 없습니다.


    아이 훈육 시 올바른 방법과 태도에 대해 공부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