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공사장에 가서보면 공사관련용어들이 거의가 다 일본말인것 같아요. 세월이 흘러도 말은 그대로인것 같아요. 왜 지금도 일본말이 공사현장에서 사용중인가요?

공사현장에 가서보면 인부들이 사용하는 용어들이 거의가다 일본말이라고 합니다. 오야지등 그런데 세월이 지나도 왜 공사장에서는 인부들이 일본말을 전문용어처럼 아직도 사용하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건축기술이 일본의 건축기술을 따라하고, 일본의 설계 방식을 많이 배우며 발전해 왔습니다. 소위 1세대 건축가라고 불리는 분들은 일본이나 유럽에서 건축을 배웠던 분들이 매우 뛰어난 건축물을 설계했었습니다. 그만큼 일본과 유럽의 건축이 우리나라와 비교해서 매우 앞서고 있었던 것입니다. 설계 뿐 아니라 시공기술도 그렇습니다. 일본은 일찍부터 외국의 기술을 수용하며 발전했고, 일부는 외국어를 일본식으로 발음하거나 일본어로 용어를 만들어 사용해왔습니다. 우리나라와 가깝게 있어서 우리나라는 일본의 기술을 많이 배워서 현장에서 접목시켜왔는데 이때 용어도 그대로 사용하거나 비슷하게 발음하며 사용해왔습니다. 그것을 우리나라 말로 바꿔서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현장에서 배우던 사람들은 계속 들어온 것에 익숙해서 바꾸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런 것이 없어지려면 모든 현장이 한꺼번에 용어를 변경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언제까지고 익숙한 것을 계속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나라 현장에서 일본어로 된 용어, 일본어에서 파생된 용어를 없애기란 매우 힘든 일입니다. 저도 현장에 가면 우리나라 용어나 한국어로는 없는 영어로 된 용어를 사용하는데 못 알아 듣는 작업자도 많고, 알고 있지만 기존에 써오던 일본어로 얘기하는 작업자가 대부분입니다. 그런 것을 보면 현장에서 용어를 바꾸는게 얼마나 힘들지 느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

    일제감정기시대 감독자나 관련기술자들이 일본인이며 일본식 건축기술의 영향으로 일본어단어를 그대로쓰거나 한국식으로변형된것들입니다.

    어원만 일본어지 새롭게 재창조된은어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