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체관과 물관 세포가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은 동화산물을 수송할 때 어떠한 장점이 있나요?

식물 세포 내에서 설탕과 같은 당을 운반하는 체관가 뿌리로부터 흡수한 물이 이동하는 물관은 서로 맞닿아 있다고 하는데요, 체관과 물관 세포가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은 동화산물을 수송할 때 어떠한 장점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체관과 물관이 맞닿아있으면, 물관에서 공급되는 물이 삼투압조절을 통해서 체관의 압류를 원활히 유지시키면서 설탕과같은 동화산물이 효율적으로 이동 가능합니다.

    또한 가까운위치덕분에 물공급과 용질의 수송이 빠르게 연계되면서

    장거리수송과정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체관과 물관이 맞닿아 있는 것은 동화산물 수송에 필요한 압력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함입니다. 잎에서 만들어진 설탕이 체관으로 들어와 농도가 높아지면, 바로 옆에 위치한 물관에서 체관으로 물이 삼투 현상에 의해 유입됩니다. 이렇게 유입된 물은 체관 내부에 높은 압력을 만들어내고, 이 압력이 설탕과 같은 동화산물을 식물의 다른 부위로 밀어내는 원동력으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식물에서 체관과 물관 세포가 서로 맞닿아 있는 구조는 식물에서 동화산물, 주로 설탕의 효율적인 수송과 관련이 있습니다. 체관에서 설탕과 같은 동화산물이 부유물질이 풍부한 체관 원형질체 안으로 적재되면, 해당 부위의 삼투압이 높아지는데요, 이처럼 삼투압이 높아지면 체관 세포 안으로 물관에서 물이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체관과 물관이 바로 맞닿아 있으면, 물관에서 물이 체관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짧아 수송 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며, 반대로 체관과 물관이 멀리 떨어져 있다면 물을 끌어오는 데 더 많은 에너지와 시간이 필요하게 됩니다.

    또한 물관과 체관이 맞닿아 있으면, 뿌리나 저장조직에서 필요한 부위로 빠르게 물이 공급되어 압력차 유지가 용이한데요 즉, 체관-물관 간의 물 교환이 원활해져 설탕 등 동화산물이 빠르게 장거리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체관이 물관과 인접하며 물관에서 삼투수가 쉽게 이동해 체관 압력을 높여주므로 설탕 같은 동화산물이 효율적으로 이동할수 있답니다.

  • 효율적인 수송이 가능합니다.

    잎에서 만들어진 당이 체관으로 이동하면, 체관 내부의 삼투압이 높아집니다. 이때, 바로 옆에 있는 물관으로부터 물이 체관으로 들어와 팽압이 증가합니다. 이 압력은 마치 수도관의 수압처럼 작용하여, 체관 내의 당 용액을 뿌리나 열매와 같은 저장 기관으로 밀어내게 됩니다.

    그리고 당이 사용되거나 저장된 후에는 체관의 삼투압이 낮아지고, 물은 다시 물관으로 돌아갑니다. 이런 과정이 계속 발생하며 당을 운반하기 때문에, 식물은 에너지를 크게 들이지 않고도 필요한 곳으로 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결과적으로, 체관과 물관이 맞닿아 있는 것은 압력 차이를 이용한 능동적인 흐름을 통해 양분 수송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장점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