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식물의 뿌리는 원뿌리,곁뿌리,수염뿌리 가 없는건가요?

식물의 뿌리는 원뿌리,곁뿌리,수염뿌리 가 없는건가요? 육상식물에서만 원뿌리,곁뿌리,수염뿌리가 있는건가요? 바다,강,연못 등에서 사는 수생식물의 뿌리형태는 뭐라고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상훈 박사
    전상훈 박사
    을지대학교

    안녕하세요.


    식물의 뿌리 구조는 육상식물과 수생식물 모두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는 환경에 적응한 결과입니다. 일반적으로 육상식물의 뿌리 시스템은 원뿌리(Taproot), 곁뿌리(Lateral Roots), 수염뿌리(Fibrous Roots)입니다. 원뿌리는 주 뿌리가 깊게 자라며, 여기서 작은 곁뿌리들이 분기하는 형태로 주로 쌍떡잎식물에서 발견됩니다. 곁뿌리는 원뿌리에서 옆으로 갈라져 나오는 뿌리로, 흡수와 지지를 돕습니다. 수염뿌리는 여러 개의 가는 뿌리들이 모여서 흡수 표면적을 넓히는 형태로, 주로 단자엽식물에서 발견됩니다.
    수생식물(Aquatic Plants)의 경우 그 뿌리 형태는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부유식물(Floating Plants), 침수식물(Submerged Plants), 정수식물(Emergent Plants)로 분류됩니다. 부유식물은 뿌리가 물에 떠 있거나 짧게 물 속에 잠겨 있으며, 물의 영양분을 직접 흡수합니다.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으로 예를 들어본다면 물 위에 떠 있는 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침수식물은 완전히 물속에 잠겨 있으며, 뿌리는 주로 지지 역할을 하며 일부는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엘로데아(Elodea)는 물 속에서 자라는 대표적인 침수식물입니다. 정수식물은 뿌리가 물속에 있지만 잎과 줄기는 물 위로 나옵니다. 이들의 뿌리는 영양분 흡수와 지지 역할을 수행하며, 연꽃(Nelumbo Nucifera)이나 갈대(Pharagmites Australis)는 물 속에 뿌리를 내리고 줄기와 잎은 물 위로 나오는 전형적인 정수식물 입니다.

    1명 평가
  • 식물의 뿌리 형태는 식물의 종류와 서식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말씀하신 원뿌리, 곁뿌리, 수염뿌리는 대표적인 뿌리의 종류이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뿌리가 존재합니다.

    원뿌리는 씨앗에서 처음 나온 뿌리로, 땅속 깊이 뻗어 들어가 식물체를 지지하고 물과 양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쌍떡잎식물에서 주로 관찰됩니다.

    곁뿌리는 원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뿌리로, 땅속 넓은 범위에 퍼져 물과 양분을 흡수합니다.

    수염뿌는 원뿌리가 뚜렷하지 않고, 뿌리가 비슷한 크기로 많이 갈라져 빗자루처럼 보이는 형태입니다. 외떡잎식물에서 주로 관찰됩니다.

    대부분의 육상식물은 땅속 깊이 뿌리를 내리고 물과 양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원뿌리, 곁뿌리, 수염뿌리 중 하나 또는 복합적인 형태를 가집니다.

    수생식물은 물속이나 습지에서 살기 때문에 육상식물과는 다른 형태의 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 일부 부유식물은 뿌리가 퇴화하거나 아주 작게 발달하여 물에 떠다니는 데 유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옥수수나 맹그로브처럼 땅 위로 뻗어나와 호흡을 돕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뿌리가 있고 난초처럼 다른 물체에 붙어서 살기 위한 뿌리가 있습니다.

    수생식물의 뿌리 형태는 서식 환경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정수식물은 물속에 완전히 잠겨 사는 식물로, 잎이 물 위에 떠 있거나 물속에 잠겨 있습니다. 뿌리는 주로 흙 속에 박혀 있지만, 일부는 물속에서 자유롭게 떠다닐 수도 있습니다.

    부엽식물은 잎이 물 위에 떠 있는 식물로, 뿌리는 물속에 잠겨 있거나 흙 속에 박혀 있습니다. 뿌리는 주로 물속의 산소를 흡수하고 식물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침수식물은 잎과 줄기가 모두 물속에 잠겨 있는 식물로, 뿌리는 흙 속에 박혀 있거나 물속을 자유롭게 떠다닐 수도 있습니다.

    식물의 뿌리 형태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식물의 종류와 서식 환경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육상식물에서 주로 관찰되는 원뿌리, 곁뿌리, 수염뿌리 외에도 수생식물에서는 발달하지 않은 뿌리, 기근, 부착근 등 다양한 형태의 뿌리가 존재합니다.

    1명 평가
  • 식물의 뿌리는 육상식물에서 원뿌리, 곁뿌리, 수염뿌리로 나뉘는 경우가 많지만, 수생식물의 뿌리도 비슷한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수생식물의 경우 뿌리 형태는 일반적으로 수중 뿌리로 불리며, 물속 환경에 적응해 있어 영양분과 산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생식물의 뿌리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으며, 물속에서 부유하거나 바닥에 고정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뿌리 중에서 '원뿌리'는 잎, 줄기, 뿌리가 될 부분이 들어있는 곳인 배에서 직접 뻗어나온 어린 뿌리가 자라서 된 굵고 곧은 뿌리를 말하는 것이며, '곁뿌리'는 원뿌리에서 옆으로 가지를 쳐서 갈라져 나온 작은 뿌리를 말하고, '수염뿌리'는 뿌리줄기의 밑동에서 수염처럼 많이 뻗어 나온 뿌리를 말합니다. 이외에도 식물의 뿌리로는 헛뿌리, 공기뿌리, 알뿌리 등이 있습니다. 수생식물의 경우 보통 '공기뿌리'가 발달해 있는데요, 땅 위의 줄기나 잎에서 나오는 엇뿌리나 땅속의 뿌리가 땅 위로 뚫고 나온 것 등 뿌리가 공기 중에 뻗어 있는 것도 있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