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기막힌악어155
기막힌악어155

가스소화기 약재에 따른 지시계 유무는 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가스소화기는 대표적으로 이산화탄소 소화기랑 할로겐 소화기를 사용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할로겐 소화기는 왜 압력계가 있고,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압력계가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할로겐 소화기와 이산화탄소(CO₂) 소화기는 각각 다른 소화약제를 사용하며, 그에 따라 설계와 작동 방식이 다릅니다.

    이산화탄소는 압력계가 없는 이유는 CO₂는 압축된 상태로 저장되며, 압력 변화가 크지 않습니다. 소화 후 냉각 효과가 있어 화재 확산을 방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CO₂ 소화기는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압력계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반면 할로겐 소화기는 내부 압력을 유지하는 압축 공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압력계를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가스소화기에 따른 압력계 유무는 주로 소화기 내 약재가 저장되는 방식과 약재의 물리적 성질에 기반합니다. 대표적인 소화기를 예로 설명하겠습니다.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압력계가 없는 이유는 이산화탄소가 통상 액체 상태로 저장되고 소화기가 활성화 될 떄 기체로 전환되어 방출되기 때문입니다. 이산화탄소는 매우 높은 압력에서 액체로 유지되기 때문에 소화기의 용기는 매우 두껍고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합니다. 이 높은 압력 조건에서는 정상적인 압력계가 사용되기 어렵습니다. 반면 할로겐 소화기는 보통 할로겐화 물질을 사용하며, 이는 상온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거나 약한 압력에서도 액화가 쉬운 특성을 가집니다. 이런 소화기는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가 장착되어 있어서 소화기의 작동 상태와 압력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이산화 탄소 소화기는 기체인 이산화 탄소를 압력을 높여 액화 시켜 용기에 저장하기 때문에

    원래 기체인 물질이라 압력이 없어도 분사가 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