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월금지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대교같은 곳에 추월금지라고 써진 것을 보았는데요. 지시등을 켜서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앞질러가지 말라는건가요? 구체적으로 추월금지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리하파파입니다.
차가 주행하다가 앞차가 내가 가는 속도보다 느리게
간다고 앞차를 앞지를 려고 차선변경 후 앞차 앞으로
차선을 변경하는 것을 추월이라고 합니다 대교나
터널 같은경우 앞차를 앞지를려다가 중심을 잃어
큰 사고가 날 수 있어서 추월금지인 곳이 있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수줍은딱새251입니다.
보통 앞차 속도가 느려 추월하기 위해 차선을 옮겨 추월을 하게되는데 추월금지인곳은 앞차를 추월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위험구간에서 추월금지를 하게 되어있구요. 보통 추월을 하면서 사고도 발생이 되는데요. 예를들어,
다리위의경우 블랙아이스로 인한 미끄럼 사고나 다른 여러 이유로 사고가 발생 시 추락의 위험이 높기때문에 앞차를 추월해선 안됩니다.
터널은 추월을하다 사고가 났을때 환경적으로 구호가 상당히 까다롭고 힘듭니다.
그래서 대부분 다리위나 터널은 추월금지 구역으로 흰색 실선으로 되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도로에서 흰색실선은 차로변경 금지이고 흰색 점선은 차로변경이 가능합니다. 대교는 대부붐 흰색실선으로 되어있어 차로변경을 하지 않는 이상 추월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사고방지의 목적이 제일큽니다. 사고가 났을때 차가 대교 밑으로 떨어 질 수 있어 최대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추월금지를 해놓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쁜향고래73입니다.
차선을 변경하지 말라는 얘기입니다. 다리 같은 곳은 습기로 인해 미끄러울 수 있기 때문에 차선을 변경하면 사고의 위헙이 있어 차선을 변경하지 말 것을 권장하며, 차선도 실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털털한호랑나비508입니다.
다리위는 겨울에 미끄럽고 바람이많이 불어서
차선을 옆으로 옮겨가면서 사고가 날수 있으니
차선이동 금지를 시켰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