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식이라고 하면, 실제 어떠한 종류 상관없이 다 섭취하는건가요?
잡식성이라고 하면 , 먹을 수 있다고 판단되면 다 먹는 동물들을 잡식성이라고 판단하는건가요? 잡식성의 기준으로는 모든것을 다 아우르는건지요?
네, 잡식성이라 하면 보통 식물성 먹이와 동물성 먹이를 모두 섭취하여 에너지를 얻고 영양분을 공급받는 동물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말하면 '먹을 수 있다고 판단되면 다 먹는 동물'이라 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좀 더 구체적인 기준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잡식 동물의 가장 특징은 풀이나 열매, 씨앗 등의 식물성 먹이와 다른 동물의 고기, 곤충, 알 등의 동물성 먹이를 모두 먹는다는 것입니다.
또한 잡식 동물은 초식 동물이나 육식 동물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소화할 수 있도록 소화 기관이 구성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개와 같은 잡식 동물은 육식 동물과 달리 탄수화물 소화 능력을 지니는 것이죠.
하지만, 말씀하신 '모든 것을 다 아우른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잡식 동물이라 하더라도 특정 독성 물질이나 소화가 불가능한 물질은 섭취하지 않습니다. 또한, 종에 따라 선호하는 먹이의 종류나 비율이 다를 수 있고, 다른 동물이 먹을 수 있는 먹이라도 먹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잡식성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성 및 동물성 먹이를 섭취하여 살아가는 동물을 말하며, 이는 해당 동물의 소화 시스템이 그에 맞춰져 있습니다. 단순히 먹을 수 있어 보이는 것을 모두 먹는다는 개념보다는,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다양한 먹이원에서 얻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는 의미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잡식성 동물은 식물과 동물을 모두 먹는 동물을 말합니다. 여기서 '모든 것'이라는 표현은 섭취 가능한 모든 종류의 생물을 의미하며, 실제로 독성이 있거나 소화할 수 없는 것은 먹지 않습니다. 잡식성은 특정 먹이에만 의존하는 초식이나 육식과 달리, 다양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인간, 곰, 쥐, 개 등이 대표적인 잡식성 동물로 분류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잡식성은 동물의 식성이 동물성과 식물성을 모두 섭취하고 소화할수있는 경우를 뜻합니다.
다만 잡식성이 무엇이든 잘먹는다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예를들어 곰이나 인간은 잡식성이맞지만, 독성물질이나 소화불가능한 물질은 먹지않습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
잡식성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는 식물과 동물을 모두 섭취하는 동물을 말합니다.
단순히 먹는다는 의미 보다는, 생리학적으로 동물이나 식물 모두에게서
영양분을 흡수하고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는지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사자의 경우도 가끔 풀을 뜯어 먹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소화불량의 해소와 같이 부수적인 역할로서 먹을 뿐이지
풀에서는 주된 에너지원이나 필수 영양분을 얻지 못하여 풀만으로는 생존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육식성이라고 부르죠.
이처럼, 섭취를 하는 행위 자체가 아니라 동식물을 먹이원으로써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동물이어야 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